- 특구재단, 미국 국립과학재단 기술사업화 프로젝트 시동
![]() |
정희권(왼쪽에서 2번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과 어윈 지안찬다니(오른쪽 세번째) NSF 기술·혁신·협력부 부국장 등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협력사업을 논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지역혁신엔진(RIE)과의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공동으로 추진하는 기술사업화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했다고 23일 밝혔다.
NSF는 1950년 미국 정부가 설립한 대표적인 과학기술 지원기관으로, 미국 내 지역을 기술‧혁신 중심의 경제 허브로 전환하기 위해 2024년부터 뉴욕, 노스캐롤라이나 등 총 10개 지역에 RIE를 출범·운영하고 있다.
이번 협력 프로젝트는 지난해 7월 ‘한미 기술사업화 인프라 라운드테이블’을 시작으로 기획됐다. 양국의 혁신 네트워크를 연계하여 ▷연구자원 공동 활용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활성화 ▷기술·제품 현지 실증(PoC) 지원 ▷경제적 성과 창출 등 글로벌 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연구개발특구와 미국의 RIE 간 협력기반 확대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향후 협력 과제 확대를 위한 실무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기로 했다.
어윈 지안찬다니 NSF 기술·혁신·협력부 부국장은 “양국 지역 혁신주체들 간 협력을 통해 사업화 혁신 네트워크가 구축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RIE와 연구개발특구 간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희권 특구재단 이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사업화 역량을 보유한 미국 현지 산·학·연 채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앞으로도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특구 내 딥테크 기업이 해외 시장으로 보다 용이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협력 프로젝트는 특구재단이 추진 중인 ‘글로벌 클러스터 R&BD 지원사업’을 통해 운영되며,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와의 협력을 통해 해외 기술자원의 효과적인 활용, 첨단기술 확보 및 특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기술사업화(기술·제품 현지화 등)를 지원할 예정이다.
해당 지원사업은 지난 5월 말까지 총 10개 과제가 접수됐으며, 이 중 최종 1개 과제(최대 18개월, 30억 원 규모)를 선정해 오는 7월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