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발의 ‘SMR 특별법’ 철회 촉구
![]() |
지난해 6월 미국의 SMR(소형모듈원전) 기업 테라파워가 미 와이오밍주(州) 4세대 SMR 실증 단지 착공식을 열고있다. /SK |
지난 18일(현지 시각)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SMR(소형 모듈 원전) 업체 테라파워는 엔비디아 등으로부터 투자금 6억5000만달러(약 9000억원)를 유치했습니다. 앞서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이 투자한 SMR 기업 오클로도 4억6000만달러를 확보했습니다. AI발(發) 전력 수요 폭증으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글로벌 빅테크들이 이번 주에만 1조5000억원 이상을 SMR 분야에 투자한 셈입니다.
SMR은 대형 원전의 핵심 설비를 모듈 하나에 담은 소형 원전을 말합니다. 기존 원전보다 안전성을 강화한 데다 건설 기간이 짧고 설치와 유지에 드는 비용이 적어 ‘차세대 원전’으로도 불립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태양광·풍력 설비를 지을 땅이 부족하고 바람이나 햇빛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나라에서는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SMR이 필수라는 진단도 나옵니다. 원전 확대에 소극적이었던 더불어민주당에서도 SMR 관련 기업 육성과 부지, 비용 지원 근거 마련 등의 내용을 담은 ‘SMR 특별법’을 지난 12일 발의했습니다.
하지만 이튿날 환경운동연합은 이를 철회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SMR은 기존 원자로보다 크기만 작을 뿐 경제성도 나쁘고, 사고가 나면 오히려 방사능 누출 위험이 더 크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투자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핵심 내용들이 사실과 다르고, 빅테크가 앞다퉈 투자에 나서고 미국·영국 등 세계 18국이 이 분야에 뛰어들어 경쟁하는 현실을 외면한 주장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한국원자력학회도 “원전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태양광의 3분의 1 수준”이라며 기후 대응을 위해선 재생에너지보다 SMR이 효과적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최근 수도권에 전력난이 가중되며 서울대 등 국내 일부 대학에서는 전력 소모가 많은 데이터센터나 양자컴퓨터 설비를 수도권 밖으로 옮긴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세계 각국이 AI 분야에서 경쟁하는 시대에 재생에너지로만 전력 수요에 대응하자는 주장은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 것입니다.
[조재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