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조선일보 언론사 이미지

DSR 적용 대상 확대… 전세 대출도 포함 검토

조선일보 곽창렬 기자
원문보기

DSR 적용 대상 확대… 전세 대출도 포함 검토

속보
국회 법사위, '윤 특혜 여부 점검' 서울구치소 현장검증 실시계획서 채택
금융위, 국정기획위에 업무 보고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하자, 정부가 전세 대출과 정책 대출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업무 보고에서 가계 부채 관리 방안으로 이 같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보고했다. DSR은 대출받은 사람이 한 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은행 기준으로는 40%를 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전세 대출과 디딤돌·버팀목 같은 정책 대출은 서민 주거 안정을 이유로 이 규제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

그간 이 대출들이 갭투자(전세를 낀 매매) 등에 이용되면서, 집값과 전셋값을 끌어올린다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지난해 가계 부채가 급증해 금융 당국이 시중은행의 주담대 규제를 강화하자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 대출이 급증하는 ‘풍선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 대출들로 인해 가계 부채가 급증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금융위는 지난해 업무 계획에서 전세 대출을 DSR 규제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전세 대출과 정책 대출이 규제받아서는 안 된다는 반론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지금까지 예외가 인정돼 왔다.

이 대출들에 DSR 규제가 적용되면 대출 한도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 당국은 다음 달부터 대출 한도를 줄이는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를 시행하기로 예고했다. 또 전세 대출의 보증 비율이 100%에서 90%로 내려간다. 이로 인해 금융사들의 소득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전세 대출 규모도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 부채 관리를 위해 검토하는 사안으로 향후 여러 여건을 고려해 실시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곽창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