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조선일보 언론사 이미지

비만 치료제가 미용용? “약을 약으로 봐야 독이 되지 않는다”

조선일보 홍준기 기자
원문보기

비만 치료제가 미용용? “약을 약으로 봐야 독이 되지 않는다”

속보
뉴욕증시 상승 출발…투자자들 무역협상 진전 주시
[WEEKLY BIZ] [Weekly Note] 자칫 부작용 커질 수 있으니 유의해야
미국 일라이릴리의 비만 주사 치료제 젭바운드(한국 시장 제품명 마운자로)와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의 비만 주사 치료제 위고비. /각 사

미국 일라이릴리의 비만 주사 치료제 젭바운드(한국 시장 제품명 마운자로)와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의 비만 주사 치료제 위고비. /각 사


약사인 친구와 비만 치료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는 “위고비를 받아가는 사람 중에는 이를 몸매 관리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며 “비만 치료제는 시급히 체중을 줄여야 하는 사람이 써야 할 약품”이라고 했습니다. 의사와 약사의 투약 지도에 맞춰 주사해야 하는 ‘약’이라는 뜻입니다.

올해는 최초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인 엑세나타이드가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지 20년째 되는 해입니다. 이 약물의 개발에 크게 공헌한 대니얼 드러커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20년 동안 수많은 환자가 이 약물을 투약하면서 쌓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해보면 부작용에 대해 그렇게 크게 걱정하지는 않아도 될 것 같다”고 했습니다.

다만 드러커 교수를 비롯한 여러 과학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서서히 투약 용량을 올려 나가야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위고비를 처방받은 사람이 자기가 멋대로 판단해 투약 용량을 조절하면 안 된다는 뜻입니다. 비만 치료제의 부작용 중에는 드물긴 하지만 실명이나 췌장·신장 등 주요 장기에 나타나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비만 치료제를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자칫 ‘기적의 치료제’가 아닌 ‘위험한 독’이 될 수 있다는 얘깁니다.

최신 글로벌 경제 트렌드를 담은 WEEKLY BIZ 뉴스레터로 당신의 시야를 넓히세요.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

[홍준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