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 평가서 15개 차종 ‘톱’ 선정
현대차그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에서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글로벌 자동차그룹 기준 가장 많은 안전 최상위 등급을 받으면서 '글로벌 안전 리더'로서의 위상을 입증했다. 올해부터 뒷좌석 승객 안전 평가 기준을 비롯해 최상위 등급 평가 기준이 한층 강화됐음에도 현대차그룹이 올해도 최상위 안전등급을 가장 많이 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 평가에서 현대차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 △쏘나타 △기아 K4 등 3개 차종이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Top Safety Pick+)' 등급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현대차그룹에서 TSP이상 등급을 받은 차종은 현대자동차 7개, 제네시스 5개, 기아 3개 등 총 15개로, 이는 글로벌 자동차그룹 기준으로 최다 선정이다. '마쯔다'는 8개로 2위를, '혼다'는 7개로 3위를 기록했다.
![]() |
현대차 아반떼 현대차그룹 제공 |
현대차그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에서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글로벌 자동차그룹 기준 가장 많은 안전 최상위 등급을 받으면서 '글로벌 안전 리더'로서의 위상을 입증했다. 올해부터 뒷좌석 승객 안전 평가 기준을 비롯해 최상위 등급 평가 기준이 한층 강화됐음에도 현대차그룹이 올해도 최상위 안전등급을 가장 많이 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 평가에서 현대차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 △쏘나타 △기아 K4 등 3개 차종이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Top Safety Pick+)' 등급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현대차그룹에서 TSP이상 등급을 받은 차종은 현대자동차 7개, 제네시스 5개, 기아 3개 등 총 15개로, 이는 글로벌 자동차그룹 기준으로 최다 선정이다. '마쯔다'는 8개로 2위를, '혼다'는 7개로 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에서 TSP+ 또는 TSP를 받은 차종은 현대자동차 9개, 제네시스 8개, 기아 5개 등 총 22개로, 이번 수상으로 현대차그룹은 2년 연속 글로벌 자동차그룹 기준 최다 선정됐다. 현그룹은 올해 3월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코나 △투싼 △싼타페 등 현대차 5개 차종과 △GV60 △GV70 △GV70 전동화 모델 △GV80 등 제네시스 4개 차종, △EV9 △텔루라이드 등 기아 2개 차종이 TSP+ 등급에 이름을 올렸으며, 제네시스 G90가 TSP 등급에 선정됐다.
IIHS는 충돌 평가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 TSP+ 등급을, 양호한 성적을 거둔 차량에 TSP 등급을 부여한다. 무엇보다 이번 현대차그룹 15개 차종이 TSP 등급에 선정된 것은 올해부터 한층 강화된 뒷좌석 승객 안전 평가 기준을 충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IIHS는 전면 충돌 평가에서 운전자 뒷좌석에 작은 체구의 여성 또는 12세 아동을 대표하는 더미(인체 모형)를 새롭게 배치했다. 실제 충돌 사고 시 뒷좌석 승객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상 유형을 반영해 평가 방식을 보완한 것이다.
김학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