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규모 파악된 '리박 자격증' 강사들, 남은 쟁점은…'교실서 정치 활동' 여부

뉴시스 구무서
원문보기

규모 파악된 '리박 자격증' 강사들, 남은 쟁점은…'교실서 정치 활동' 여부

속보
트럼프 "필요하면 워싱턴 D.C.에 군대 투입할 것"
관련된 강사 43명…대부분 현장에서 활동 중
교육부 "자격증 소지만으론 중단 근거 없어"
일각선 "자격증 많은데 굳이…관계 있을 것"
[서울=뉴시스] 전교조와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평등교육실현전국학부모회, 혁신교육학부모네트워크 등 6개 단체가 지난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리박스쿨과 교육부 유착관계 조사 등을 요구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전교조 제공) 2025.06.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전교조와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평등교육실현전국학부모회, 혁신교육학부모네트워크 등 6개 단체가 지난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리박스쿨과 교육부 유착관계 조사 등을 요구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전교조 제공) 2025.06.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리박스쿨과 관련된 늘봄 프로그램 강사가 43명 확인된 가운데 이들이 학교에서 정치적 활동을 했느냐가 향후 조사의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16일 교육부가 발표한 늘봄 프로그램과 리박스쿨 관련성 전수조사 중간 결과를 보면 57개교에서 43명이 확인됐다.

이들은 2021년부터 2025년 사이 활동했는데 리박스쿨 관련 기관과 계약을 맺거나, 해당 기관이 발급하는 자격증을 보유한 강사들이다. 특히 기존 서울교대와 연계된 11명 외에 추가로 확인된 32명 중 31명은 올해에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교대가 리박스쿨과 연관돼 파견한 10개교, 11명의 강사는 현재 수업을 중단하고 대체 강사가 지원되고 있지만 나머지 강사들은 늘봄 프로그램에서 배제되지는 않은 상태다.

교육부 관계자는 "업체를 통한 게 아니고 학교에서 모집 공고를 내서 강사들이 전문성을 증빙할 자료를 제출해 하게 된 것"이라며 "자격증을 소지했다는 이유 만으로 중단할 근거는 없다. 프로그램은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조사 결과는 문제가 되는 기관에서 교육 또는 자격증을 받았는지 여부만 파악한 것이다. 앞으로 교육당국은 현장 조사를 통해 추가적인 부분을 확인한다.


현장 조사를 통해 밝혀야 할 사안은 이들이 편향된 정치·역사 교육 등을 했는지 여부다. 이를 위해 당국은 관련 민원이 있었는지, 공개 수업 여부, 수업 참관자 등의 체크리스트를 마련해 조사에 나선다. 또 연수·자격 습득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내역을 이수했는지도 들여다 볼 예정이다.

단 해당 학생들이 초등학교 1·2학년의 저학년대여서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조사하는 방식에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교원단체에서는 해당 강사들이 리박스쿨 또는 극우 교육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선정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변인은 "늘봄 관련 자격증이 많은데 굳이 문제가 된 기관에서 자격증을 받았다면 그러한 단체 활동과 관계가 있었다고 추측을 하는 게 무리는 아니다"라며 "교육부가 빨리 조사에 나서야 하고, 전교조 차원에서도 학교를 통해 신고를 접수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수조사를 이르면 이달 말까지 마무리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조사 결과 교육 중립성 위반이 확인되면 교육청과 협의해서 강사 계약 해지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