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총리 후보자까지 달려간 식품업계 간담회...김민석 "가격 누르는 시대 아니지만..."

한국일보
원문보기

총리 후보자까지 달려간 식품업계 간담회...김민석 "가격 누르는 시대 아니지만..."

서울 / 22.6 °
'밥상 물가안정 경청' 간담회
"가격 결정 자율성 존중" 방침
다만 불합리한 인상은 개입
"물가 통제보다 취약층 지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3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연수원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서 열린 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경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시몬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3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연수원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서 열린 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경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시몬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13일 최근 먹거리 물가 상승과 관련해 "대단히 송구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고개를 숙였다. 다만 정부가 식품·외식업계를 향해 가격 인하를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시장 가격의 자율성을 살려야 한다"며 선을 그었다.

김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연수원에서 식품·외식업계 및 학계 전문가와 함께 '밥상 물가안정 경청 간담회'를 열었다. 9일 이 대통령이 '라면값 2,000원'을 언급하며 물가 안정 대책을 주문한 지 나흘 만이다. 주로 농림축산식품부 장차관이나 실장급이 주관하는 물가 간담회를 국무총리 후보자가 직접 소집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는 "취임 전이지만 정부에 식품 물가를 최우선 관심 사항으로 가져보는 게 좋겠다고 환기하는 차원에서 간담회를 마련했다"고 했다. 2024년 12월 3일 불법 계엄 사태 이후 6개월 새 가격을 올린 식품·외식업체는 60개가 넘는다.

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라면을 고르고 있다. 뉴스1

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라면을 고르고 있다. 뉴스1


김 후보자는 "업계는 업계대로 원가 부담이 있고 국민 입장에선 주부는 장바구니를 들 때 직장인은 점심을 할 때마다 고통스러운 상황이라 대단히 송구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가 과거처럼 기업의 판매가를 가격 규제 형식으로 막 내리누를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간 것 아니겠느냐""(기업의) 합리적인 시장 가격 자율성을 살리면서 서민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을 어떻게 조화롭게 하느냐의 문제"라고 했다. 다만 김 후보자는 "거래 불투명성을 이유로 국민에 부담을 전가하는 방식은 고쳐야 한다"고 했다. 불합리한 가격 인상에는 개입하겠다는 취지다. 최근 정부는 계란값 급등과 관련해 담합 등 농가들의 불공정 거래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소비자단체 측은 "밀가루, 대두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떨어진 만큼 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고 한다. 반면 김명철 한국식품산업협회 부회장은 "전(윤석열)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따라 비용 부담을 감내하다 계엄 이후 환율 폭등 등으로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했다"고 설명했다고 본보에 전했다. 2023, 2024년 원재료 인상분을 뒤늦게 반영했다는 취지다. 또 다른 참석자는 "간담회에서 전문가들도 정부가 직접 물가를 통제하기보다는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했다.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