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테크M 언론사 이미지

예스24도 당한 랜섬웨어, 1분기 글로벌 피해건수 122% 늘었다

테크M
원문보기

예스24도 당한 랜섬웨어, 1분기 글로벌 피해건수 122% 늘었다

속보
인천 송도 아파트서 총격 사건..."60대 피의자 검거"
[임경호 기자]

사진=SK쉴더스 제공

사진=SK쉴더스 제공


인터넷서점 예스24가 랜섬웨어 공격으로 지난 9일부터 서비스를 전면 중단한 가운데 최근 랜섬웨어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가 발표돼 관심을 모은다.

SK쉴더스는 2025년 1분기 대한민국 안티 랜섬웨어 얼라이언스(KARA)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의료와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확산 중인 랜섬웨어 피해 양상과 신종 공격 수법을 집중 분석했다.

랜섬웨어는 컴퓨터나 서버의 파일을 암호화한 뒤 복구를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사이버 공격 수법이다. 최근에는 암호화뿐 아니라 탈취한 데이터를 유출하거나 다크웹에 게시하며 협박하는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 랜섬웨어 피해 건수는 총 257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2%, 직전 분기 대비 35% 증가한 수치다. 활동을 중단했던 주요 랜섬웨어 그룹들이 재등장하고, 다크웹에서 공격 도구 거래와 협업이 활발해지면서 피해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병원과 학교를 겨냥한 공격이 두드러졌다. 의료 부문 피해는 전년 동기 대비 86%, 교육 부문은 160% 이상 급증했다. 과거에는 병원이나 학교 같은 공공 목적의 기관은 공격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별도 협상 없이 복구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이들도 예외 없이 고액의 금전을 요구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대표 사례로 미국 캔자스주의 병원에서 22만명 이상 환자 정보가 유출됐고, 영국의 의료복지기관은 약 2.3테라바이트(TB)에 달하는 민감 정보를 유출당한 뒤 200만달러(약 28억원)를 요구받았다.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등지의 학교도 공격을 받아 등교 중단, 자격증명과 재무정보 유출 등 다양한 피해를 입었다.

의료·교육기관이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피해는 기관 내부에 국한되지 않고 환자와 학생 등 일반 시민의 일상까지 위협받게 된다. 시스템 마비로 치료 지연, 수업 취소, 정보 유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신원 도용, 사기, 보험 청구 등 2차 범죄로 악용될 가능성도 높다.

보고서에서는 활동 빈도가 높은 주요 랜섬웨어 그룹과 산업별 피해 현황도 함께 분석했다. 올해 1분기 가장 활발히 활동한 랜섬웨어 그룹은 Clop으로, 미국 파일 전송 플랫폼 클레오의 취약점을 악용해 총 341건의 공격을 감행했다. 뒤를 이어 RansomHub 232건 Akira 220건 Babuk-Bjorka 그룹 179건 순이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전체 피해의 과반(50.4%)을 차지했다. 캐나다와 영국이 그 뒤를 이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25%)이 가장 많이 피해를 입었으며, 유통·무역·운송, 서비스, IT·웹·통신, 건설 등 다양한 분야가 타깃이 됐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Babuk 랜섬웨어 그룹의 활동 변화와 변종 위험성도 함께 다뤘다. Babuk은 2020년 12월 처음 등장해 북미와 유럽의 의료기관과 정부 기관을 공격하며 빠르게 확산된 랜섬웨어다. 윈도우뿐 아니라 NAS, ESXi 등 다양한 시스템을 노릴 수 있다. 내부 인트라넷과 같은 폐쇄망에서도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다.

Babuk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제작된 변종 랜섬웨어들은 최근까지 계속 등장하고 있다. 실제 침해 여부와 관계없이 데이터를 위조하거나 재활용해 협박하는 방식도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Babuk은 여전히 기술적 위협성과 수법 확산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한 랜섬웨어로 평가된다.


SK쉴더스는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내부 시스템 접근 제어 이상 징후 모니터링 강화 등 선제적인 보안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탐지와 대응이 가능한 '관리 탐지·대응(MDR)' 서비스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MDR 서비스는 사이버 위협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보안 전문가가 신속하게 분석·대응하는 구조다.

김병무 SK쉴더스 사이버보안부문장(부사장)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병원과 학교 같은 공공 목적 시설까지 랜섬웨어 공격이 확산되는 등 사이버 위협이 더 이상 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며 "국내 역시 의료·교육·공공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하고, 전문적인 대응 역량을 갖춰야 할 시점"이라고 전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저작권자 Copyright ⓒ 테크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