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회견 방해 이유… 민주당 “전체주의냐”
美 정부 “LA 본보기… 사회주의서 해방돼야”
법원, 불법 판단… ‘전기차 의무화’ 소송전도
불법 이민자 단속 반대 시위에 대한 대응 명목으로 자국 서부 ‘진보 도시’ 로스엔젤레스(LA)에 군대를 보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LA가 속한 캘리포니아주(州)와의 대치 전선을 넓히고 있다. 연방정부가 하는 일을 훼방하면 예외 없이 체포하겠다고 주지사를 위협하더니 군 배치에 항의하던 연방 상원의원에게 기어코 수갑을 채웠다. 제대로 손을 보려 전면전도 불사하는 모습이다.
캘리포니아가 지역구인 미국 민주당 소속 연방 상원의원 알렉스 파디야는 12일(현지시간) 크리스티 놈 미 국토안보부 장관의 기자회견이 열린 미 연방수사국(FBI) LA 본부에 모습을 드러냈다가 강제로 끌려 나갔다. 청중에 섞여 있던 파디야 의원이 연방정부의 이민 단속과 시위 대응 등에 대해 소개하던 놈 장관의 발언을 항의조로 끊으려 했다. 그러자 경호 요원들이 그를 출구 쪽으로 밀어냈다. “상원의원 알렉스 파디야다. 장관에게 질문이 있다”고 외쳤지만 결국 바닥에 엎드린 상태로 수갑이 채워졌다.
누구인지 몰랐다는 게 정부 측 해명이다. 트리샤 맥러플린 국토안보부 대변인은 엑스(X)에 “파디야 의원은 무례하게 정치 연극을 했고 신분을 밝히지도 상원 보안 배지를 착용하지도 않은 채 놈 장관에게 돌진해 실시간 기자회견을 방해했다”고 썼다.
美 정부 “LA 본보기… 사회주의서 해방돼야”
법원, 불법 판단… ‘전기차 의무화’ 소송전도
![]() |
민주당 소속 알렉스 파디야(가운데) 미국 연방 상원의원이 12일 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기자회견 중이던 크리스티 놈 미 국토안보부 장관에게 질문을 하려다 경호 요원들에게 붙잡혀 끌려 나가고 있다. LA에서는 이날로 일주일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 이민 단속에 반대하는 시위가 이어졌다. 로스앤젤레스=AP 연합뉴스 |
불법 이민자 단속 반대 시위에 대한 대응 명목으로 자국 서부 ‘진보 도시’ 로스엔젤레스(LA)에 군대를 보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LA가 속한 캘리포니아주(州)와의 대치 전선을 넓히고 있다. 연방정부가 하는 일을 훼방하면 예외 없이 체포하겠다고 주지사를 위협하더니 군 배치에 항의하던 연방 상원의원에게 기어코 수갑을 채웠다. 제대로 손을 보려 전면전도 불사하는 모습이다.
의원에게 이러는데 노동자에겐
캘리포니아가 지역구인 미국 민주당 소속 연방 상원의원 알렉스 파디야는 12일(현지시간) 크리스티 놈 미 국토안보부 장관의 기자회견이 열린 미 연방수사국(FBI) LA 본부에 모습을 드러냈다가 강제로 끌려 나갔다. 청중에 섞여 있던 파디야 의원이 연방정부의 이민 단속과 시위 대응 등에 대해 소개하던 놈 장관의 발언을 항의조로 끊으려 했다. 그러자 경호 요원들이 그를 출구 쪽으로 밀어냈다. “상원의원 알렉스 파디야다. 장관에게 질문이 있다”고 외쳤지만 결국 바닥에 엎드린 상태로 수갑이 채워졌다.
누구인지 몰랐다는 게 정부 측 해명이다. 트리샤 맥러플린 국토안보부 대변인은 엑스(X)에 “파디야 의원은 무례하게 정치 연극을 했고 신분을 밝히지도 상원 보안 배지를 착용하지도 않은 채 놈 장관에게 돌진해 실시간 기자회견을 방해했다”고 썼다.
멕시코계로 트럼프 행정부의 반(反)이민 정책을 앞장서 비판해 온 파디야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람들에게는 평화롭게 시위할 권리가 있다. 나는 평화롭게 서 있었고 질문을 했을 뿐”이라고 항변했다. 그는 “상원의원을 이렇게 대하는 행정부가 LA와 캘리포니아, 전국 노동자들에게 무슨 짓을 할지는 뻔하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냉소를 쏟아냈다. 애비게일 잭슨 백악관 부대변인은 “파디야는 답변이 아니라 관심을 원했다”고 흠잡았다. 반면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척 슈머(뉴욕)는 상원 연설에서 “전체주의의 악취가 난다”고 백악관을 비판했다. 공화당 상원의원 리사 머카우스키(알래스카)도 “내가 아는 미국이 아니다”라며 민주당 측에 동조했다.
주방위군 4,000명, 해병대 700명 규모 LA 군 주둔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놈 장관은 회견에서 “주지사와 시장이 강요해 온 사회주의 리더십으로부터 도시를 해방시키는 게 우리 목적”이라며 “지금 전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 이 도시가 본보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휘발유차 퇴출 놓고도 충돌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2035년부터 시행 예정인 캘리포니아주의 전기화 의무화 조치를 폐기하는 결의안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
하지만 법원 판단은 다르다. 찰스 브레이어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 판사는 “주지사 동의 없이 LA에 주방위군을 배치한 것은 불법”이라며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낸 가처분 신청을 이날 받아들였다. 브레이어 판사는 “대통령은 주방위군의 통제권을 즉시 주지사에게 반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론 트럼프 행정부는 항소법원에 명령 집행 정지를 요청했다.
트럼프 행정부와 캘리포니아의 싸움터는 이민 단속과 시위 진압용 군 동원뿐만이 아니다. 캘리포니아는 지금껏 자동차에 연방법(청정대기법)보다 더 강한 배출가스 규제를 가해 왔고, 2035년부터는 전기차의 신규 등록만 허용하며 휘발유 차량을 퇴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공화당이 장악한 미국 연방의회는 캘리포니아의 전기차 의무화 조치를 폐기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여기에 서명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화석 연료 및 자동차 기업들이 12개 주가 따르는 캘리포니아 규정에 강하게 반대했다”고 전했다.
캘리포니아는 당장 소송을 냈다. 롭 본타 캘리포니아 주법무장관은 “대통령의 분열적·당파적인 의제가 우리의 생명과 경제,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며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결의안의 근거인) 의회검토법을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