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 협상 않으면 고관세” 조바심
“소비자에 관세 전가될 수도” 인정
“부채 증가보다 빨리 성장” 고육책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속이 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약인 관세와 감세 정책이 뜻대로 풀리지 않으면서다. 짐짓 낙관하는 척하지만 사태를 수습하긴 힘겨운 기색이다.
베선트 장관은 일요일인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스 방송인 NBC, CNN에 잇달아 출연,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경제 정책을 적극 옹호했다. 다만 극복해야 할 난관들이 있다는 사실까지 부인하진 못했다.
일단 그는 현재 자국과 무역 협상 중인 국가들을 상대로 협상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을 경우 다시 고율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6일 “향후 2, 3주 내에 (각국에) 스콧(베선트 재무장관)과 하워드(러트닉 상무장관)가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내야 하는 것을 알려주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베선트 장관은 “선의로 협상하지 않는 국가들은 ‘이게 관세율이다’라고 적은 서한을 (일방적으로) 받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 “협상하고 싶지 않다면 관세는 4월 2일 수준으로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소비자에 관세 전가될 수도” 인정
“부채 증가보다 빨리 성장” 고육책
![]() |
스콧 베선트(가운데) 미국 재무장관이 15일 카타르 도하에서 비즈니스 리더들과의 조찬 자리에 참석해 있다. 도하=AFP 연합뉴스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속이 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약인 관세와 감세 정책이 뜻대로 풀리지 않으면서다. 짐짓 낙관하는 척하지만 사태를 수습하긴 힘겨운 기색이다.
베선트 장관은 일요일인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스 방송인 NBC, CNN에 잇달아 출연,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경제 정책을 적극 옹호했다. 다만 극복해야 할 난관들이 있다는 사실까지 부인하진 못했다.
관세 협상 난항
일단 그는 현재 자국과 무역 협상 중인 국가들을 상대로 협상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을 경우 다시 고율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6일 “향후 2, 3주 내에 (각국에) 스콧(베선트 재무장관)과 하워드(러트닉 상무장관)가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내야 하는 것을 알려주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베선트 장관은 “선의로 협상하지 않는 국가들은 ‘이게 관세율이다’라고 적은 서한을 (일방적으로) 받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 “협상하고 싶지 않다면 관세는 4월 2일 수준으로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이런 강경한 태도는 조바심의 방증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다른 나라들이 미국과의 협상을 서두르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랑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미국이 우선 협상 대상으로 지목한 나라들의 사정을 살피면 협상이 빨리 타결되리라는 보장이 없다. 호주와 캐나다의 새 정권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자극한 반미(反美) 정서에 편승해 최근 집권에 성공했다. 각각 6, 7월에 대통령 선거 및 참의원(상원) 선거를 치르는 한국과 일본은 사실상 버티기에 들어갔다. 인도는 파키스탄과의 분쟁을 해결하는 게 급선무일 공산이 크다. 블룸버그통신은 미중 간 ‘관세 휴전’이 대미(對美) 무역 협상에 나선 국가들에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확신을 주고 있다고 보도했다.
물가 상승 불가피
![]() |
스콧 베선트(왼쪽) 미국 재무장관이 16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 대통령과 함께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아부다비=로이터 연합뉴스 |
관세발 가격 상승은 심각하지 않으리라는 게 베선트 장관 주장이다. 17일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비용 상쇄를 위해 제품 가격을 올려서는 안 된다고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를 압박했다. 이와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월마트 최고경영자(CEO) 더그 맥밀런과 통화했다며 “맥밀런이 일부 관세를 감당하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일부는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트럼프 관세로 월마트 고객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음을 재무장관이 인정했다”고 해석했다.
더불어 베선트 장관은 “전반적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안정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일어났던 일(물가 급등) 때문에 소비자들이 전전긍긍하는 것을 탓할 수는 없다”고 했다. 물가가 올라도 전임 정부에 책임을 돌릴 구실을 마련해 놓은 셈이다.
재정적자 지속
재정 적자를 감내하고서라도 감세를 추진할 수밖에 없는 사정을 정당화하기도 했다. 그는 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16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한 것에 대해 “무디스는 후행 지표”라며 “이미 모든 게 시장에 반영됐다”고 폄하했다. 그러면서 그는 “부채 증가보다 더 빠른 속도로 국내총생산(GDP)을 늘리면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안정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금을 덜 걷으면 재정 적자가 지속되겠지만 부채 증가 폭보다 성장 폭이 크면 경제 규모 대비 부채 비율이 줄어들 테니 괜찮다는 논리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