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많은 지도자들이 그 재능을 눈여겨보고 꽃밭에 물을 주려고 노력했다. 욕심을 낼 만한 자원이었다. 그러나 좀처럼 그 재능이 만개하지 않았다. 결정적인 순간 실책이 나왔고, 기회에서 약한 모습을 보였다. 가진 재능에 비해 성과가 잘 나오지 않으니 ‘멘탈이 약하다’, ‘집중력이 약하다’는 곱지 않은 시선이 쏟아졌다. 그렇게 20대가 거의 다 지나갔다.
이숭용 SSG 감독도 부임 이후 안상현의 재능을 대번에 알아챘다. 2024년 시즌을 앞두고 치열한 주전 2루수 경쟁이 벌어졌을 때, 캠프에서 가장 앞서 나간 선수는 단연 안상현이었다. 하루 강훈련이 끝난 뒤 개인적으로 매일 100번의 스윙을 돌리겠다는 약속을 지켰고, 연습경기에서도 성과가 좋았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또 한계를 돌파하지 못했다.
안상현은 지난해 37경기에서 타율 0.171에 머물렀다. 캠프에서의 기세가 시즌 직전 부상으로 한 차례 끊겼고, 1군으로 온 이후에도 좀처럼 그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1군과 2군을 오가는 과정에서 캠프에서의 성과는 흐지부지됐다. 연습 때 좋은 모습이 실전에서 좀처럼 나오지 않았다. 천재성은 있었고, 폭발력이 있었을지는 몰라도 지속성이 없었다. 2군에 내려간 뒤 오히려 그래프가 푹 꺾여 치고 올라오지 못하는 모습은 여전했다.
![]() |
안상현은 5월 13일 1군 엔트리에 재등록됐다. 예전에는 한 번 2군에 내려가면 그대로 끝인 경우가 많았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다. 안상현은 콜업 후 17일 더블헤더 일정까지 5경기에서 타율 0.471로 맹활약했다. 하위 타순에서 팀 공격의 활력소를 톡톡히 제공했다. 여기에 3루 수비도 안정적이었다. 최정이 없는 상황에서 박지환을 시작으로 많은 선수들이 3루 자리에 들어갔으나 모두 수비 문제로 난리가 난 지점이었다. 하지만 안상현이 그 황무지를 다듬으며 팀 내야도 안정감을 찾고 있다.
17일 대전에서 열린 한화와 더블헤더 2경기에서 공·수 대활약을 하며 팀에 귀중한 승리를 안긴 안상현은 이제 다시 팀 내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선수가 됐다. 베테랑 김성현이 부상으로 빠졌고, 최정이 아직은 수비에 들어가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수가 기회를 잘 잡은 셈이 됐다. 그대로 꺾이고 또 잊히는 듯했는데 다시 벼랑을 기어 올라왔다. 이전까지는 다른 투지와 다른 맛이 있다.
![]() |
안상현은 기세를 계속 이어 가고 있다. 18일 대전 한화전에서도 선발 3루수로 출전, 중요한 순간 안타를 치는 등 4타수 2안타 1볼넷 1도루 2득점으로 활약하면서 팀의 7-3 승리를 이끌었다. 시즌 타율도 0.348로 오르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공격은 물론 수비에서도 안정감 있는 활약을 했다.
안상현은 경기 후 “2군에 내려갈 때 치는 것을 조금 바꿨다. 스탠스와 방망이를 조금 짧게 잡는 것, 두 가지 정도를 바꿨는데 지금 아직까지는 괜찮은 것 같다”면서 “2군에 가면 사람이 (심리적으로) 그럴 수 있지 않나. 그런데 이번에는 2군에 갈 때 나름 긍정적으로 다녀왔다. 보완할 점을 많이 생각하고, 또 이야기했다. 코치님들이 도와주셔서 괜찮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예전에는 온 기회를 너무 잡으려고 하다 탈이 났다. 올해는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달려드니 마음은 조금 더 편해졌다. 안상현은 “뭔가 편하게 하려다 보니까 결과가 조금 좋게 나온 것 같다. 실수를 해도 ‘실수를 했네, 다음에 잘하면 되지’라고 생각하려고 노력한다”면서 “여러 포지션을 소화해도 상관이 없다. 자리나 기회를 막 잡으려고 안 하려고 하고, 뭔가 조금 더 편안하게 하고 싶다”면서 초심을 다졌다. SSG의 오랜 기다림이 조금씩 그 결과를 확인하고 있다.
![]() |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