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불난 터널서도 잘 보인다…서울시 '안전빛색' 개발

더팩트
원문보기

불난 터널서도 잘 보인다…서울시 '안전빛색' 개발

속보
트럼프 "이란 다시 위대하게 만들 수 없다면 정권교체" 언급

전국 최초 표준형 안전디자인
흰색+파랑색, 안전한 보행 유도


터널, 지하차도 화재 시 빠른 대피가 가능하도록 불길·연기 속에서도 잘 보이는 '안전빛색'이 개발됐다. 개선 위치번호판 예시./서울시

터널, 지하차도 화재 시 빠른 대피가 가능하도록 불길·연기 속에서도 잘 보이는 '안전빛색'이 개발됐다. 개선 위치번호판 예시./서울시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터널, 지하차도 화재 시 빠른 대피가 가능하도록 불길·연기 속에서도 잘 보이는 '안전빛색'이 개발됐다. 초록색과 노란색을 혼합해 시인성과 접근성을 높였고, 터널 피난연결통로에는 안전경관등 형태로 설치돼 유사시 대피에 활용된다. 공사 현장과 보행로를 구분하는 플라스틱(PE) 방호벽은 기존의 흰색·빨간색 일자형 배열에서 흰색과 지시 색상인 파란색을 교차 배치하는 방식으로 개선된다.

서울시는 안전한 터널과 지하차도를 운영을 위한 '표준형 안전디자인'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개발된 안전빛색의 '터널안전경관등'은 우선 홍지문터널, 정릉터널, 구룡터널 3곳에 시범 적용하고 효과성 검토 후 다른 터널과 지하차도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 2022년 전국 최초로 색맹·색약과 같은 색각이상자도 구별이 가능한 서울형 산업현장 안전디자인을 개발했다.

그간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던 안전색 중에는 색약자가 구분하기 어려운 빨강(금지), 초록(안내) 등이 포함돼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색각 이상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안전색을 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픽토그램(그림문자)과 안전표지를 개발한 것이 주요 개선 내용이다. 이번 터널용 표준형 안전디자인 개발도 이러한 후속 사업의 일환이다.

이번 '표준형 안전디자인' 개발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하화 공사에 따른 시민과 공사인력에 대한 안전 조치로 터널·지하차도의 피난연결통로와 지하화 공사장 상부 등에 적용한다. 터널 등에 경관등 형태로 적용한 사례는 전국 최초다.

개선 피난연결통로(터널안전경관등)./서울시

개선 피난연결통로(터널안전경관등)./서울시


터널안전경관등은 건설·국토관리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통한 실증 실험 결과 암전과 연기 발생시 일정 수준 이상의 가시성이 확보됐다.


터널과 지하차도에 부착하는 '안내표지'도 개선된다. 암전 시 최대 1시간 동안 스스로 빛을 내는 '축광 시트'를 활용한 위치번호판을 새롭게 제작해, 현재 위치는 물론 출입구 방향과 거리 등의 정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에 제작·설치되는 위치번호판은 피난연결통로가 없는 노후 터널에서 비상 대피 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완공·운영 중인 터널, 지하차도는 물론 현재 공사 중인 현장 내 '차량 리프트', '근로자 리프트' 등 기계·장비 사용 안내표지에도 신규 디자인을 적용, 공사 중 추락·끼임 등 인명사고 예방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사 현장 차도와 보행로 구분이나 차량 출입 통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PE)방호벽도 교체한다. 새로운 방호벽은 금지를 의미하는 안전색 '빨강'에서 지시를 뜻하는 ‘파랑’으로 바꿔, 시인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보행자 동선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공사 현장 외관도 개선한다.


시는 아울러 새롭게 개선된 방호벽은 안전성과 미관을 높인 것은 물론, 곡선 형태의 설치가 가능해 보행로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공간 차지율이 40% 이상 감소해 적재 및 보관 측면에서도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서울시가 개발한 터널·지하차도 표준형 안전디자인 설치, 확산으로 시민과 공사인력의 안전을 강화할 것"이라며 "동시에 시인성과 높은 색상과 안전 표지로 그동안 각양각색이었던 터널과 지하차도를 통일성있게 변화시켜 도시미관 개선에도 도움을 주겠다"고 말했다.

snow@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