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경호처 폐지·축소론 나오는 와중에···윤석열 경호 위해 65명 증원

한국일보
원문보기

경호처 폐지·축소론 나오는 와중에···윤석열 경호 위해 65명 증원

서울맑음 / 29.8 °
정부, 시행령 개정해 경호·경비 인력 늘려
행안부 "이전 대통령 사례 따라 증원"
경호처 폐지·축소법 여러 건, 국회 계류 중


1월 9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경호처 관계자들이 입구에 승용차와 경찰차로 차벽을 세워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정다빈 기자

1월 9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경호처 관계자들이 입구에 승용차와 경찰차로 차벽을 세워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정다빈 기자


조직 축소·폐지론이 나오고 있는 대통령 경호처가 인력을 더 늘리기로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경호와 사저 경비를 위해 65명을 추가 선발하기로 한 것이다.

정부는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대통령 경호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령안’을 의결했다. 개정령에는 전직 대통령 경호에 필요한 인력 27명과 사저 경비에 필요한 38명을 각각 증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윤 전 대통령은 현재 서울 서초구의 주상복합아파트인 아크로비스타에 거주 중이다.

앞서 경호처는 12·3 불법 비상계엄 사태 이후 수사기관의 윤 전 대통령 신병 확보 과정에서 체포를 저지하려 하는 등 논란의 중심에 섰었다. 이후 경호처를 축소 또는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나왔다. 현재 국회에는 대통령 경호 업무를 경찰로 이관하거나 권한을 축소하는 내용이 담긴 대통령 경호법 개정안이 여러 건 계류돼 있다.

행정안전부는 경호처의 요청을 받고 이전 사례를 검토해 증원을 결정했기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대통령이 퇴임할 때쯤 경호처 인력을 더 뽑아 퇴임 대통령의 경호를 맡기는 건 관례"라면서 "문재인 전 대통령 퇴임 시에도 경호 인력 65명을 추가 채용했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돼 대통령실을 나갔지만 여전히 경호 대상이다. 다만 정상적으로 임기를 채운 전임 대통령이 기본 10년, 최대 15년까지 경호받는 것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임기를 채우지 못했기에 기본 5년, 최대 10년간 경호받게 된다.

유대근 기자 dynamic@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