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TV조선 언론사 이미지

우크라전 전장서 '광섬유 드론' 공포 확산…전파 방해도 안 통해

TV조선 신은서 기자(choshi@chosun.com)
원문보기
속보
국민의힘 의총 종료…"한덕수와 단일화 반드시 필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조종 자폭 드론이 위협적 무기로 떠올랐다.

유선 드론은 전파방해가 통하지 않고 기존 무선 드론과 달리 초저공으로 장거리 비행을 할 수 있어 미리 알아내 막아내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23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최전선에서는 평원 한가운데에 실처럼 가느다란 광케이블이 놓여 있거나 한데 얽혀 있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러시아군이나 우크라이나군이 사용한 유선 드론의 흔적이다.

이런 드론은 통상 동체 아래에 길쭉한 원통형의 케이블 릴이 붙어있다.

둘둘 말린 채 수납된 길이 10∼20㎞의 광케이블을 뿌리듯 풀어내면서 상대방을 향해 날아가 자폭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하순 처음 전장에 모습을 드러낸 유선 드론은 전파로 조종하는 게 아닌 만큼 전자전 수법으로는 무력화할 수가 없다.

또 일반적인 드론과는 다르게 전파가 잘 닿지 않는 장소에서도 날 수 있었기에 급속도로 사용 빈도가 늘어났다고 우크라이나군 드론 특수부대 아킬레스 연대의 유리 페도렌코 대위는 말했다.

대위는 "숙련된 조종사는 이런 드론을 숲이나 줄 지어선 나무들 사이로도 날게 할 수 있다"며 "만약 일반 드론이라면 근처에 재송신기가 없는 한 신호가 나무에 막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미 해군분석센터(CNA)의 드론 전문가 새뮤얼 벤데트는 "이런 드론은 전자전으로 교란할 수 없기에 최초의 공격에서 적의 전자전 및 전파교란 장비를 노리는 데 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무선 일인칭 시점 드론(FPV)이 타격에 나설 길을 여는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광케이블을 쓰기 때문에 적진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하는 등 더 상세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단점으로는 다수의 유선 드론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서로 케이블이 얽힐 수 있고 케이블 길이에 한계가 있는 점 등이 있지만, 이를 감안해도 충분히 유용한 무기라는 분석이다.


현재로선 광케이블 수급량이 많은 러시아가 유선 드론 활용에서 훨씬 앞서는 것으로 전해진다.

러시아군은 최근 쿠르스크 전선에 대량의 유선 드론을 투입해 우크라이나군에 상당한 피해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신은서 기자(choshi@chosun.com)

-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