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 설루션 'IBM 왓슨x 오케스트레이트' 소개
![]() |
한국IBM 클라이언트 엔지니어링 총괄 김지관 상무 |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인공지능(AI) 통합 어시스턴트를 활용해 하나의 사용자 환경과 경험(UI·UX)에서 1시간 정도 걸리는 일을 4분 만에 끝낼 수 있습니다."
한국IBM 클라이언트 엔지니어링 총괄 김지관 상무는 21일 서울 여의도 한국IBM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에이전틱 AI 설루션 '왓슨x 오케스트레이트' 등 IBM의 AI 전략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상무는 이날 왓슨x 오케스트레이트에서 다양한 AI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하며 기업 업무를 효율화하는 과정을 선보였다.
그는 IBM 영업 사원이 세 가지 업무를 연달아 처리하는 상황을 가정했다.
먼저 특별 할인 이벤트 내용을 타깃 고객사 특정 임원에게 이메일로 발송하도록 요청했더니 고객 등급에 따른 할인율 등을 AI가 빠르게 찾아내 이메일을 보냈다.
약 30~40분 걸리는 일이 1~2분 내외로 단축된 것이다.
이번에는 IBM 내부 복지 혜택인 보험 상품을 갱신해봤다. 일일이 보험 상품 문서를 찾을 필요 없이 AI가 현재 상황에 맞는 최적의 상품을 추천했다.
이때 AI는 영업에서 인사로 업무 종류가 전환하는 것을 인식해, '애스크 세일즈 어시스턴트'에서 인사(HR) 부문을 담당하는 '애스크 HR 어시스턴트'로 전환해도 되는지 동의를 구했다. 사용자가 동의하니 애스크 HR 어시스턴트가 등장해 업무를 처리했다.
마지막으로 노트북이 고장 나는 상황을 가정해 "노트북이 고장 났어"라고 입력하니 바로 IT 서비스 부문을 관리하는 '애스크 IT 에이전트'로 넘어가 문제를 해결했다.
여러 AI 시스템에 일일이 접속할 필요 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자연어로 요청하면, 요청한 업무에 적합한 AI 에이전트가 등장해 업무를 처리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약 1시간 정도 걸릴 일을 4분 이내에 해결할 수 있었다.
김 상무는 "IBM은 클라우드, 온프레미스(사내 구축형) 환경도 같이 엮을 수 있는 역량이 있다"며 "신뢰성 측면에서는 AI가 일관된 행동을 하도록 측정하는 기능이 있으며, 올해 안에 대화를 주고받거나 맥락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IBM 최고기술책임자(CTO) 이지은 전무는 "IBM의 AI 전략은 한마디로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AI"라며 "핵심은 오픈소스를 최대한 채용해 다른 AI 회사의 기술까지도 기업 고객이 유연하게 활용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AI 플랫폼에서 특정 기술만 사용할 수 있으면 기업이 AI를 활용하는 데 한계가 생기기에 오픈소스를 통해 개방성을 확보한 것이다.
국내 기업 또한 이 같은 오픈소스 정책을 기반으로 IBM 설루션에 참여할 수 있다고 IBM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IBM 등 빅테크와 학계가 폭넓게 참여하는 글로벌 오픈 소스 커뮤니티 'AI 동맹'을 통해서도 국내 기업과 함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비용 효율성, 하이브리드 환경 적합성, 안전성을 IBM만의 차별화한 장점으로 꼽았다.
이 전무는 "IBM은 AI 기반 생산성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IBM 왓슨x 플랫폼을 활용해 AI와 자동화를 전사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하고 있다"며 "그 결과 2023년 1월 이후 약 2년간 35억 달러의 생산성 향상을 이뤘다"고 말했다.
hyun0@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