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공장 밀집 中 광저우 르포
美저가품 관세 부과 앞두고 ‘중국산 밀어내기’도 거세져
美저가품 관세 부과 앞두고 ‘중국산 밀어내기’도 거세져
![]() |
16일 중국 광저우시 판위구에 있는 의류 공장 직원들이 재봉틀을 돌려 옷을 만들고 있다. 이 일대는 쉬인 등에 납품하는 공장 7000여 곳이 모여 있어 ‘쉬인 빌리지’라고도 불린다. /이벌찬 특파원 |
“사장이 공장 이전(移轉) 부지를 알아본다면서 베트남에 출장을 갔습니다. 우리 일자리가 전부 동남아로 넘어가면 저는 뭘 먹고삽니까.” 16일 저녁 중국 광저우시 판위구(區) 탕부둥촌(村)의 한 의류 공장에서 만난 여성은 “트럼프 때문에 졸지에 실업자가 되게 생겼다”며 한숨을 쉬었다. 미국 등에 초저가 의류를 판매하는 중국 온라인 패션 플랫폼 ‘쉬인(Shein)’의 ‘공급망(물류) 본부’에서 1.9㎞ 떨어진 이곳은 ‘쉬인 빌리지’로 통한다. 의류 공장 7000곳 가운데 80%가 쉬인에 납품을 하고, 노동자 수십만 명을 위한 월 20만원짜리 월세방들이 즐비하다. 값싼 물건을 원하는 미국인들의 ‘직구(해외 직접 구매)’에 힘입어 성장한 이 마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상대로 벌이는 관세전쟁에 생계를 잃게 됐다며 불안해했다.
![]() |
16일 저녁 광저우 '쉬인빌리지'의 의류 공장 앞에는 원자재를 싣고 들어오는 트럭이 줄을 섰다. 쉬인빌리지는 이달 말까지 '물량 밀어내기' 작업으로 분주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800달러(약 120만원) 미만 관세를 제외해주는 ‘소액 면세 기준’을 폐지하면서 다음달 2일부터 수출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이벌찬 특파원 |
![]() |
그래픽=양인성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이후 중국에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보복관세로 대응하며 미·중 무역 전쟁이 예상보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미 백악관은 15일 공개한 행정 명령에 중국의 관세가 (트럼프 취임 전 품목별 관세를 포함해) 최고 245%라고 발표하면서 “이제 공은 중국 쪽에 있다”며 협상을 압박했다. 중국이 “싸움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며 물러서지 않을 뜻을 확실히 했다. 무역 분쟁이 트럼프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자존심 경쟁 양상으로 치닫는 가운데 중국의 공장이 밀집한 광저우의 노동자들은 불안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저가품 관세 부과 앞두고… ‘중국산 밀어내기’ 거세질 듯
쉬인 빌리지의 공장 노동자들은 특히 트럼프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800달러(약 120만원) 미만 관세를 제외해주는 ‘소액 면세’까지 다음 달 2일 폐지하기로 한 것에 충격을 먹었다고 했다. 이 조치로 소액 면세 제도를 활용해 미국 매출이 급성장한 이른바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의 사업 방식은 근본적으로 흔들리게 됐다. ‘이리복장’에서 만난 40대 장모씨는 “(소액 면제가 적용되는) 이달 말까지는 ‘사돈에 팔촌까지 데려와서 일하라’고 사장이 말하더라”면서 “이렇게 물량을 밀어낸다 해도 다음 달부터 무슨 일이 닥칠지, 생각만 해도 걱정”이라고 했다. 지난해 쉬인의 미국 매출은 약 85억달러(12조1000억원)로 전체 매출의 약 30%를 차지했다.
![]() |
그래픽=양인성 |
![]() |
그래픽=양인성 |
‘여러 명(多名) 급구. 부부 구직자 우대.’ 16일 저녁 쉬인 빌리지의 공장들은 저녁 식사를 거른 공장 노동자들의 분주한 손길로 먼지가 휘날리고 있었다. 다음 달 2일 전 최대한 많은 옷을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기 위해 공장을 멈추지 않고 돌리는 모습이었다. 한 봉제 공장에선 여자 아이 두 명이 재봉틀을 잡고 있었다. 사진을 찍자 행인들이 다가와 “이제 막바지 아닌가. 얼마나 일손이 급하면 그러겠느냐”라고 했다. 공장 사정이 딱하니 봐주란 얘기였다. 쉬인은 공급 업체의 아동 노동 사례 적발로 지난해 곤욕을 치렀다.
쉬인 빌리지의 공장들은 보통 오후 5시 30분~6시 30분 저녁 시간에 쉰다. 하지만 이날은 휴식도 없이 ‘풀 가동’되는 모습이었다. 재하청 의류 공장에서 일하는 장리밍(45)씨는 “나는 매일 12시간씩 이곳에서 일하며 돈을 모았는데, 정신 나간 트럼프 때문에 일자리를 잃을 처지에 놓였다. 이 동네엔 무더기 실직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무서운 소문이 돈다”고 말했다. 공장 사장들이 베트남 등 동남아로 생산 기지를 옮기려 한다는 풍문은 분위기를 더 흉흉하게 만든다고 한다. 트럼프는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서도 상호 관세를 46% 부과한다고 예고한 상태지만, 중국의 145%에 비하면 관세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중국 제조 업자들은 동남아를 우회 수출을 위한 기지로 고려하고 있다.
![]() |
![]() |
16일 저녁 광저우 '쉬인빌리지'의 한 의류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야간 근무'에 돌입했다. 미중 관세 전쟁 여파로 쉬인빌리지가 직격탄을 입은 가운데 막바지 '물량 밀어내기' 작업이 한창이다. /이벌찬 특파원 |
광저우가 속한 광둥성(省)에선 중국이 수출하는 상품의 약 4분의 1이 만들어진다. 쉬인 외에도 테무·알리익스프레스 등 미국을 공략하는 대형 전자 상거래 업체들의 생산 거점이 몰려 있다. 광저우 인근의 포산은 가구와 가전, 선전은 전자제품과 의료 기기, 둥관은 장난감·영유아용품 등의 핵심 생산지다. 트럼프발(發) 고율 관세 충격을 더 크게 느낄 수밖에 없다.
소액 면세 적용을 받는 의류 등 저렴한 상품과 달리 도매로 미국에 수출을 하는, 비교적 큰 규모의 공장들은 지난 2월부터 점점 높아지는 관세를 적용받아 이미 고율 관세의 영향권 아래 놓인 상태다. 광둥성에 있는 37년 역사의 아동용품 제조사 러메이다그룹은 ‘교대 휴무’ 통지문을 붙여놓고 있었다. 이 회사는 지난 11일 “국제 정치와 관세 정책 등 불가항력의 영향으로 인해 수출 물량이 취소되고 있다. 4~6월 생산량 감축 정책을 실시하며 순번에 따른 직원들의 휴무를 강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방문한 포산의 욕실용품 제조 업체의 사장 허씨는 “1억위안 매출 가운데 15%가 미국 수출로 발생하는 우리 회사는 타격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 지인이 운영하는 저장성의 한 부품 업체는 미국 매출 비율이 70%라서 처참한 상황에 직면했다고 들었다”고 했다.
![]() |
16일 중국 광둥성의 한 제조업체에서 노동자들이 작업하고 있다. 이 공장은 매출의 15%가 미국 수출에서 나온다./이벌찬 특파원 |
![]() |
16일 중국 광둥성의 한 욕실용품 공장 내부에 '작업이 순조롭길'이라고 적힌 붉은 종이가 붙어 있다./이벌찬 특파원 |
중국 경제활동 인구 중 제조업 종사자 비율은 약 29%에 달해 미국(약 9%)보다 훨씬 많다. 무역 분쟁으로 제조업이 타격을 입고 일자리가 줄어들 경우 중국 국민에게 가해지는 고통이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중국은 미국과의 관세 전쟁에서 물러나지 않고 장기전(長期戰)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반복해서 천명하고 있다. 중국은 트럼프 1기(2017~2021년) 때인 2018년 1차 미·중 관세 전쟁 이후 내수 시장 의존도를 높이고 기술 자립에 속도를 내왔다. 미국 국채와 금 보유량을 늘려 ‘총탄’을 확보하고, 지방 부채 해소(2024년) 등의 조치를 통해 트럼프 시대의 충격에 대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럼에도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은 중국이 6개월 이상 미국의 고율 관세가 이어지면 산업이 견디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중국 제조 업체들이 그나마 기대는 곳은 14억 인구로 구성된 내수 시장, 그리고 중국 국민들의 반미(反美) 감정에 기댄 ‘애국 소비’다. 저장성의 고급 남성화 위탁 생산(OEM) 업체 ‘더사이’의 사장은 11일 더우인(중국판 틱톡)에 “매출의 3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이 닫혔다. (중국인) 여러분이 사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