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FC 이정효 감독.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정다워 기자] “판정은 제대로 하지도 못하면서 권위만 내세우려고 한다.”
근래 들어 K리그 심판을 향한 현장의 불만은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올해도 다르지 않다. K리그 한 지도자는 “솔직히 몇 년 전만 해도 오심이 나오거나 이상한 판정이 나오면 문제가 되고 기사도 많이 나왔다. 언젠가부터 별로 이슈도 안 되고 기사도 잘 안 나온다”면서 “다들 그러려니 하는 수준까지 간 것 같다. 그 정도로 판정 능력이 떨어진다”라고 하소연했다.
실제 거의 매 라운드 판정 논란이 발생하는데, 화젯거리가 되지 않는 분위기다. 심판마다 판정 기준이 크게 엇갈리고 심지어 같은 심판이 경기 중 일관성 없이 호루라기를 부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 감독은 경기 중 자기 벤치 쪽으로 물병을 걷어찼다. 국제축구연맹(FIFA), 대한축구협회 경기 규칙에 따르면 ‘음료수병 또는 다른 물체를 던지거나/발로 차는 행위’는 ‘경고’로 규정하고 있다. 레드카드를 주는 건 정확한 판정이 아니다.
한 시즌 만에 똑같은 상황이 반복했다. 그런데 이 감독도, 광주 구단도 레드카드를 받은 정확한 이유를 모른다.
그렇다고 판정에 불만을 드러낼 수 없다. 규정에 따라 판정에 관해 시비를 걸 경우 징계를 받을 수도 있다. 게다가 최근 K리그 구단에서는 심판을 향해 목소리를 냈다 불이익을 얻을까 걱정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 일종의 ‘보복 판정’을 우려하는 형국이다. 한 구단 관계자는 “어디까지나 추정이지만 심판은 항의하면 ‘대든다’는 뉘앙스로 대응한다”면서 “오히려 가만히 있게 된다. 어차피 바뀔 일도 없는데 굳이 언급해서 심기를 불편하게 하지 않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심판을 운영할 때만 해도 판정 이슈가 나오면 빠르게 피드백, 소통하는 과정을 겪었다. 대한축구협회로 심판 운영이 이관된 후엔 사실상 ‘성역’이 됐다. 폐쇄적인 심판 세계에서 실력은 퇴보하고 권위만 세우려는 뻣뻣함만 살아나는 모습이다.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