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1 (화)

'대전 왕자'의 화려한 컴백. 문동주 158㎞ 직구-143km포크볼로 3+2이닝 KKKKKK 무실점[잠실 현장]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7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와 LG의 경기, 3회말 2사 한화 문동주가 LG 홍창기를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으로 잡아낸 후 공을 향해 손짓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3.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와 LG의 경기, 한화 선발투수 문동주가 1회말 LG 오스틴에게 던진 직구 구속이 전광판에 나타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3.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와 LG의 경기, 한화 선발투수 문동주가 역투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3.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잠실=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한화의 왕자' 문동주가 158㎞의 강속구와 함께 돌아왔다.

문동주는 27일 잠실에서 열린 LG 트윈스와의 원정경기서 선발등판해 5이닝 동안 61개의 공을 뿌리며 1안타 무4사구 6탈삼진 무실점의 깔끔한 피칭으로 2025시즌을 활짝 열었다.

앞으로 계속 선발 등판을 하며 투구수를 올리면 곧 정상적인 선발 피칭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2년에 입단했던 문동주는 두번째 시즌인 2023년 8승8패 평균자책점 3.72를 기록하며 신인왕에 올랐다. 그해 아시안게임 대표팀에 발탁돼 에이스로서 대만과의 예선전과 결승전서 좋은 피칭을 해 금메달의 주역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엔 21경기서 7승7패 평균자책점 5.17로 좋지 않았다. 시즌 중엔 등 통증으로 고생했고, 시즌 막바지에는 어깨가 아팠다. 9월 3일 두산 베어스전에서 6이닝 1실점을 한 뒤 엔트리에서 말소됐고, 그대로 시즌 종료.

스프링캠프에는 동행했지만, 실전 피칭을 하지는 못했다. 아팠던 만큼 천천히 투구수를 올려가는 과정을 택했다.

신중하게 몸을 만들어간 문동주는 시범경기에서야 첫 실전을 소화했다. 11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1이닝 무안타 1볼넷 2탈삼진 무실점을 기록. 최고 구속 159㎞를 찍으며 건강하게 돌아왔음을 알린 문동주는 14일 롯데전에서는 2이닝 무실점으로 조금 더 길게 마운드를 지켰다.

원래 문동주의 복귀 계획은 2군에서 투구수를 끌어올린 뒤 1군에 돌아오는 것이었다. 문동주가 빠진 5선발 자리에는 조동욱이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문동주가 빠르게 실전 감각을 올리면서 구위가 좋다는 판단에 1군에서 선발로 던지면서 투구수를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김 감독은 지난 25일 문동주의 선발 등판을 밝히며 "3이닝을 던진다. 다만, 3이닝을 모두 채우면 고마운 일"이라며 투구수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동주가 3이닝을 던지면 그 뒤는 조동욱이 이어서 던지기로 했다. 그래서 이날 함께 1군에 콜업됐다.

문동주는 지난해 LG에 강했다. 3경기에 선발등판해 2승 무패 평균자책점 1.06을 기록했다. 17이닝을 던지며 4실점(2자책)을 기록.

지난해 김현수가 2타수 2안타, 신민재가 7타수 4안타, 박해민이 6타수 3안타로 문동주를 상대로 좋은 타격을 보였다.

반면 홍창기가 5타수 1안타, 오지환이 6타수 1안타, 오스틴이 7타수 1안타에 그쳤고, 문성주는 5타수 무안타, 문보경은 7타수 무안타, 박동원도 2타수 무안타로 묶였다.

27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와 LG의 경기, 3회말 2사 한화 문동주가 LG 홍창기를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으로 잡아낸 후 공을 향해 손짓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3.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와 LG의 경기, 한화 선발투수 문동주가 역투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3.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와 LG의 경기, 4회말 한화 유격수 심우준이 문동주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3.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이닝 예정이었는데 2이닝을 더해 5회까지 던지면서 건강함과 함께 시즌 준비를 착실히 했음을 증명했다.

1회말 초반 어수선했다. 선두 홍창기의 타구가 느리게 2루수 쪽으로 흘렀고 2루수 안치홍이 잡아 1루로 던지려 했으나 공을 놓쳤다. 내야안타. 2번 문성주가 유격수쪽 땅볼로 병살타가 되는 듯했는데 이번엔 유격수 심우준이 공을 잡았다가 떨어뜨렸다. 2루에만 포스아웃시키며 병살은 실패했다.

문동주가 스스로 정리에 나섰다. 오스틴을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웠다. 4구째 던진 직구가 볼이 되긴 했으나 158㎞를 찍기도 했다. 이어 4번 문보경 타석 때 1루주자 문성주에게 2루 도루를 허용. 득점권 위기에서 풀카운트 승부를 펼친 문동주는 문보경을 137㎞ 포크볼로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1회를 마무리. 투구수는 19개였다.

2회말은 깔끔했다. 오지환을 헛스윙 삼진, 김현수를 2루수앞 땅볼, 이주헌을 헛스윙 삼진으로 삼자범퇴로 끝냈다. 투구수는 10개로 2회까지 29개를 기록.

3회말에도 선두 박해민을 초구에 중견수 플라이, 9번 신민재를 4구만에 유격수앞 땅볼, 홍창기를

141㎞ 포크볼로 헛스윙, 3구 삼진으로 끝냈다. 투구수는 37개.

김경문 감독은 경기전 "3이닝을 생각하지만 투구수가 적으면 더 던질 수도 있다"라고 했고, 실제로 문동주는 4회말에도 마운드에 올랐다.

첫 상대는 도루를 하다가 허리 뭉침 증세로 빠진 문성주를 대신한 송찬의. 송찬의가 친 타구가 유격수 정면으로 굴러갔으나 심우준 앞에서 갑자기 불규칙 바운드가 되며 글러브를 맞고 옆으로 튀었다. 유격수 실책으로 출루. 오스틴을 3루수앞 땅볼로 처리해 1사 2루가 된 상황에서 또 문보경을 만난 문동주는 투수 땅볼로 처리. 2루주자를 확인하지 않고 1루로 뛰면서 던져 송찬의는 3루까지 달렸다. 오지환을 유격수 파울 플라이로 잡고 4회도 무실점으로 끝냈다.

5회에도 마운드에 섰다. 선두 김현수와 이주헌을 연속 중견수 플라이로 잡아낸 뒤 박해민을 헛스윙 삼진으로 잡고 끝내 5회까지 마무리 지었다. 6회말에 조동욱으로 교체.

61개 중 최고 158㎞의 직구를 42개 뿌렸고, 최고 143㎞ 포크볼을 9개, 141㎞의 슬라이더를 4개, 134㎞의 커브를 6개 더해 1위를 달리는 LG 타선을 꽁꽁 묶었다.

잠실=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