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존중하지만, 국민 납득하겠냐"
윤석열 탄핵 신속한 선고 촉구에 주력
24일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 기각 결정을 내리자,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납득할 수 없는 선고'라고 일제히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나 유감 표명은 짧았고, 담담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를 앞두고 최고 헌법기관의 결정에 불복하는 모양새가 하등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에서다. 이날 야권 메시지는 "윤 대통령 파면만 남았다"는 데 집중됐다.
애당초 '한덕수 탄핵 인용'에 대한 기대는 야권에서도 드물었다.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 무력화로 굳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꺼내 든 카드였기 때문이다. 줄탄핵 역풍을 의식한 듯, 야권은 한 권한대행 탄핵 사유였던 '헌법재판관 임명 부작위' 문제를 재차 꺼내드는 데 주력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광화문 천막 최고위원회의에서 "(헌재의) 결정이야 존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지만, 명백하게 고의적으로 헌법을 어긴 행위"라며 "탄핵할 정도는 이르지 않았다는 판결을 국민들께서 과연 납득할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도 "수용될 수밖에 없으나, 납득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윤석열 탄핵 신속한 선고 촉구에 주력
![]() |
이재명(왼쪽 세 번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천막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시계를 보고 있다. 고영권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결정이야 존중하지 않을 수 없지만, 탄핵할 정도는 아니라는 판결을 국민들께서 과연 납득할지 모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24일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 기각 결정을 내리자,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납득할 수 없는 선고'라고 일제히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나 유감 표명은 짧았고, 담담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를 앞두고 최고 헌법기관의 결정에 불복하는 모양새가 하등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에서다. 이날 야권 메시지는 "윤 대통령 파면만 남았다"는 데 집중됐다.
애당초 '한덕수 탄핵 인용'에 대한 기대는 야권에서도 드물었다.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 무력화로 굳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꺼내 든 카드였기 때문이다. 줄탄핵 역풍을 의식한 듯, 야권은 한 권한대행 탄핵 사유였던 '헌법재판관 임명 부작위' 문제를 재차 꺼내드는 데 주력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광화문 천막 최고위원회의에서 "(헌재의) 결정이야 존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지만, 명백하게 고의적으로 헌법을 어긴 행위"라며 "탄핵할 정도는 이르지 않았다는 판결을 국민들께서 과연 납득할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도 "수용될 수밖에 없으나, 납득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이날 야권의 관심은 오로지 윤 대통령 탄핵 선고였다. 한 권한대행의 선고가 내려진 만큼 이제 남은 건 윤 대통령 탄핵심판밖에 없다며 총력전을 폈다. 이 대표부터 헌재를 향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신속한 선고가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제 내란 수괴 윤석열만 남았다"며 "내일 당장 선고하라"고 헌재를 거듭 압박했다. 한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에 즉각 나서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특히 야권은 이날 헌재가 제시한 '기각' 판단 내용이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의 근거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으며 여론전에 한껏 활용하려는 모습이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헌재가) 대통령 파면 선고 전 대통령과 관련된 것들은 판결 내용에 포함하지 않으려고 애쓴 흔적이 보였다"며 "헌재 탄핵심판의 모든 결과는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수렴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야권 대선주자들도 윤 대통령 탄핵 인용 가능성에 힘을 싣고 나섰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한 총리 탄핵 기각 결정은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앞선 사전 국정안정 조치"라고 해석했다. 박용진 전 의원은 헌재가 '내란죄 철회'를 각하 사유로 문제 삼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도 주요 쟁점이 되지 않음을 분명히 드러냈다"고 했다.
박세인 기자 sane@hankookilbo.com
박준규 기자 ssangkkal@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