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트선재센터에서 14일 개막한 ‘하종현 5975’전의 설치 전경. 남서원 촬영. 아트선재센터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마포(麻布·삼실로 찬 천) 뒷면에 물감을 밀어 넣는 ‘배압법(背押法)’을 사용한 연작 ‘접합’으로 잘 알려진 추상미술가 하종현 작가의 초기작들을 살펴보는 전시가 열렸다.
서울 종로구 아트선재센터에서 14일 개막한 ‘하종현 5975’전은 하종현이 1959년 홍익대를 졸업한 직후부터 ‘접합’을 시작한 1975년까지 만든 작품을 살펴본다. 이들 작품을 들여다보는 렌즈는 당대 한국 사회의 변화와 작가의 개인적 경험이다.
총 4개 시기로 나눠진 전시는 시간 순서대로 펼쳐진다. 1부 ‘전후의 황폐한 현실과 앵포르멜’(1959-1965)에선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 뒤 나타난 추상회화의 한 경향인 앵포르멜을 보고 그린 작품들을 모았다. 물감을 두껍게 칠하거나 그림 표면을 불에 그을리고 어두운 색조를 활용해 불안한 시대상을 담고자 했다. 1959년 ‘자화상’ 같은 인물화도 있다.
1960년대 후반 작품을 조명하는 2부 ‘도시화와 기하학적 추상’에서는 연작 ‘도시계획백서’가 등장한다. 이 시리즈는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1971)으로 인한 급격한 산업화에서 영감을 얻어 강렬한 색채와 반복적인 패턴을 넣은 기하학적 추상화다. 또 단청 문양이나 돗자리 직조 기법을 인용한 연작 ‘탄생’도 이때 작품이다.
하 작가는 1969년 비평가 이일 등 작가 및 이론가 12명과 함께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를 결성한다. 실험 미술의 영향을 받아 철조망, 신문, 스프링 등 일상적 재료를 작품에 활용하는데, 이때 작품이 3부에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특히 도면으로만 남아 있던 거울 설치 작업 ‘작품’(1970년)을 재현해 첫 전시 이후 처음으로 다시 선보인다. 거울 여러 개와 두개골, 골반 엑스레이 필름을 재료로 활용한 작품이다.
![]() |
하종현의 1967년 작품 ‘도시계획백서’. 남서원 촬영. 아트선재센터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마지막 4부는 연작 ‘접합’의 탄생 과정을 살펴보는 ‘접합-배압법’(1974-1975)이다. 이 무렵 작가는 마포 뒷면에 물감을 듬뿍 바르고 나무 주걱으로 물감을 밀어내는 ‘배압법’을 고안했다. 이런 배압법을 이용한 여러 시도들을 4부에서 살펴볼 수 있다. 김선정 아트선재센터 예술감독은 “하종현의 작품 속에 담긴 시대적 메시지와 물성에 관한 이야기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트선재센터는 이번 전시와 연계해 지난해 10월 신정훈 서울대 서양화과 교수와 정연심 홍익대 예술학과 교수, 레슬리 마 메트로폴리탄미술관 근현대 아시아 미술 큐레이터 등이 참여한 심포지엄도 개최했다. 세 연구자가 심포지엄에서 발제한 ‘근대화의 회화, 면밀하고 고집스럽게 물질주의적인’(신정훈), ‘하종현의 6년(1969~1975): 매체의 물질성에 대한 실험과 방법론’(정연심), ‘표식 만들기의 정치학: 1960~1970년대 하종현 회화’(레슬리 마)는 전시 도록에 수록돼 다음 달 출간 예정이다. 4월 20일까지.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