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6 (일)

이진숙 "2030 극우라면 최민희 극좌"…崔 "어디 내 이름에 극좌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정부질문서 충돌…최민희 "12·3 내란 표현에 보도지침·갑질"

李, 민주 '카톡 검열' 논란에 "그런 것 없다고 확실히 선언해야"

뉴스1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에서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2.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소은 임세원 정지형 기자 = 앙숙 관계인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충돌했다.

우선 이날 최 의원은 자신의 질의 순서 때 이 위원장이 지난달 23일 방통위 기자실을 방문해 '12·3 내란'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취지로 언급한 데 대해 "보도지침이자 갑질"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그러자 "내란이라는 게 아직 법적 절차를 거치고 있어 '12·3 계엄'이라고 표현하는 게 정확하지 '12·3 내란'이라는 표현은 정확하지 않다고 언론 선배로서 얘기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최 의원은 다시 "방통위가 방송사에 대한 재허가권을 갖고 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이에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보도지침이라는 것은 얼토당토하지도 않고 현명한 기자들이 가이드라인이라고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최 의원이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사태'를 두고 "폭동 사태라고 쓰면 안 되냐"고 하자 "그 부분은 제가 언급한 바 없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어 "평가할 위치에 있지 않고 마찬가지로 내란에 대해서도 내란이다, 아니다 평가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후 이 위원장은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과의 질의 응답에서 최민희 의원을 정조준했다.

최수진 의원은 이날 이 위원장을 향해 MBC 뉴스데스크 앵커 멘트를 보여주면서 "MBC는 왜 민주당 대변인식 브리핑을 하는 것이냐. 여기에서 '극우'라는 표현이 계속 나온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 위원장은 "만약 이진숙을 극우라고 하고, 또 광화문 집회 현장 등에 나가는 2030(세대)을 극우라고 한다면 우리 국민 상당수를 극우 세력으로 몰아가는 시도라고 생각한다"며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그렇다면 '비이재명계들이 움직인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움직이면 지지자들을 다 모아 죽여버리겠다'고 한 최민희 의원이 바로 극좌가 될 것"이라며 "그러나 저는 한 번도 최민희 의원에 대해 극좌라는 표현을 쓴 적이 없다"고 말했다.

뉴스1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에서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2.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 의원은 지난해 11월 '오마이TV'와의 인터뷰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 선고 후 당내 비명계 움직임이 활발해진다는 관측에 이러한 표현을 한 적이 있다.

최민희 의원은 이 위원장의 발언에 신상 발언을 통해 "국무위원이 특정 의원 질의 과정에서 특정 의원을 콕 집어 비난하고 시빗거리로 삼는 걸 처음 봤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극우, 극좌를 함부로 쓰지 마라. 극우 파시즘, 나치즘 때문에 8000만 내지 9000만 명이 죽었다"며 "스탈린 체제, 중국 문화대혁명, 그게 극좌다. 어디 내 이름 뒤에다가 극좌를 붙이나"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이 위원장은 최수진 의원이 민주당의 '카카오톡 검열' 논란에 대해 질문하자 미국 워싱턴 포스트(WP)의 슬로건인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Democracy Dies in Darkness)를 거론하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그는 "국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개인과 개인 간 소통 수단으로 사용하는 소셜미디어에 대해 조금이라도 위축감을 갖게 된다면 민주주의의 큰 기둥 하나를 무너트리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민주당에서 그런 생각(카톡 검열)이 없다면, 확실하게 '카톡 검열이라는 것은 없다'고 선언해주면 국민이 좀 더 신뢰하지 않겠냐고 생각한다"고 했다.

cho1175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