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8 (화)

“중국과 공유 안해” 이정재 옆, 몸값 13조원 ‘거물’…딥시크에 ‘화들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지난해 9월 아티스트유나이티드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이정재(왼쪽부터) 사내이사,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CEO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귀하의 데이터는 중국과 공유되지 않습니다.”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CEO 이메일 공지 중)

딥시크발 개인정보 논란이 한창 잘 나가던 글로벌 스타트업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저비용 고효율로 알려진 딥시크 도입을 알리면서도 개인정보 논란에 대해 일찌감치 선을 긋고 나섰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검색엔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플렉시티 이야기다.

헤럴드경제

퍼플렉시티가 이용자들에게 보낸 메일 내용. [독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퍼플렉시티는 지난 5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공동 창업자 겸 CEO 명의의 메일을 통해 “퍼플렉시티 플랫폼에서 딥시크 R1(DeepSeek R1) 모델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면서도 “해당 모델은 미국과 유럽에 있는 서버에서 호스팅 돼 중국과 공유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딥시크앱에서 검열된 주제를 포함해 모든 주제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며 “이용자가 AI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해서 찾아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퍼플렉시티는 지난 2022년 오픈AI 출신 스리니바스가 창업한 미국 AI 스타트업이다. 지난해 6월 SKT가 1000만달러를 투자해 우리에게도 익숙하다. 같은 해 8월 26일에는 국내 가입자 500만명(지난해 8월 기준)을 돌파한 SKT AI 에이전트인 ‘에이닷’ 전면 개편과 동시에 탑재되기도 했다.

지난해 9월에는 배우 이정재가 사내이사로 있는 아티스트유나이티드와 국내 시장에 맞춘 서비스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퍼플렉시티의 발 빠른 움직임은 딥시크발 개인정보 논란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딥시크는 이름 등 기본정보부터 키보드 입력 패턴에 이르기까지 과도한 정보 수집, 수집된 정보의 중국 서버 저장, 중국 법 적용 우려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에 외교, 안보, 통상 분야 정부 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물론, SKT, LG유플러스 등 국내 대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나선 바 있다.

헤럴드경제

중국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딥시크’(DeepSeek).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4주차 국내 이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앱 2위로 딥시크(121만명)가 급부상했다. 이런 가운데 개인정보 논란이 일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잖이 제기된 바 있다.

이 때문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가 국민신문고 등 민원을 계기로 개인정보보호법상에 근거한 ‘사전 실태점검’에 나설지도 관심이 집중된다.

앞서 개보위는 지난달 31일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으나 아직까지 답변을 받지 못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