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22 (수)

"나 이제 가노라" 故 김민기 발인, 장현성·설경구 오열 속 영원한 안식 [Oh!쎈 이슈]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OSEN

[OSEN=연휘선 기자] 한국 포크계 대부, 대학로 소극장 학전 설립자 고(故) 김민기가 영면에 들었다.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김민기의 발인식이 엄수됐다. 별도의 영결식은 없었으나, 영정으로나마 생전 고인의 정수가 담긴 대학로 소극장 학전의 자리(현 아르코꿈밭)을 둘러봤다.

이 자리에는 유족을 비롯해 김민기와 예술사를 함께 했던 가수, 배우 등 대중문화예술인들이 모여 고인의 마지막을 추모했다. 장현성, 설경구, 황정민, 김대명, 방은진, 배성우, 이채경, 이황의, 최덕문 등의 배우들과 박승화(유리상자), 박학기, 알리, 이적 등이 영정 앞에서 묵념으로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소극장 학전의 터를 이어받은 아르코꿈밭극장을 운영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정병국 위원장과 유홍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도 함께 자리를 지켰다.

"나 이제 가노라 저 거친 광야에, 서러움 모두 버리고 나 이제 가노라".

김민기의 대표곡 '아침 이슬'이 누가 먼저 할 것 없이 선창돼 울려퍼지기도 했다. 장현성과 설경구는 물론 박학기와 이적 등 끝내 울음을 참지 못한 후배들이 통곡했다. 터지는 눈물만큼 "사랑합니다 선배님", "선생님 사랑합니다!"라는 우렁찬 말을 쏟아내는 이도 있었다. 황정민, 배성우 등 차마 입을 열지 못한 배우들도 착잡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색소폰 연주자 이인권이 고인의 또 다른 곡 '아름다운 사람'을 연주하며 운구차를 배웅했다. 장현성, 박학기, 박승화가 현장에 모인 대중문화예술인들을 대표해 인사하는 순간까지 장마철 비와 함께 눈물도 계속해서 내린 가운데 운구차는 장지인 천안공원묘원으로 향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51년 전북 익산 출생인 김민기는 미술에 매진했던 중, 고등학교 시절에 힘입어 서울대학교 회화과에 입학했으나 정작 대입 후에는 음악에 빠졌다. 이에 1970년 그의 대표곡 '아침이슬'을 발표하며 데뷔했다. 가수 양희은이 부르며 더욱 유명해진 '아침이슬', '상록수' 등 모두 고인의 작품이다. 김민기의 곡들은 서정적인 선율에도 저항적인 메시지를 잃지 않는 강인함으로 1970년대에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1980년대에는 대중적인 사랑을 받았다.

이에 1971년 발표된 데뷔 음반 '김민기'는 발매 직후 압수당하는 외압에 시달리기도 했으나 김민기는 공장을 다니면서도 꾸준히 음악을 놓지 않았다. 특히 '상록수'가 1977년 김민기가 봉제공장에서 일하던 와중에 작곡한 명곡으로 지금까지 사랑받고 있다. 이 밖에도 '친구', '가을편지', '아름다운 사람', '가뭄', '백구', '공장의 불빛', '이 세상 어딘가에' 등의 곡들이 사랑받았다.

김민기는 음악 못지 않게 연극에도 진심이었는데 1973년 김지하 희곡 '금관의 예수', 마당극 '아구' 제작에도 참여했다. 1978년에는 노래극 '공장의 불빛'을 연출하며 본격적으로 발을 들였고, 1983년 연극 '멈춰선 저 상여는 상주도 없다더냐' 등을 연출했다. 이후 1991년 서울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을 개관하며 극단 학전의 대표까지 역임했다. 학전에서는 연극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포크 가수들의 공연도 이뤄졌는데 김광석 또한 학전을 통해 탄생한 대표적인 스타다. 그 외에 밴드 YB의 보컬 윤도현 역시 학전 출신 뮤지션으로 활약했다.

학전 대표였던 1994년, 김민기는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연출하며 한국 공연계에 획을 그었다. 독일 원작을 김민기가 한국 정서에 맞게 번안한 '지하철 1호선'은 지난해까지 8000회 이상 상연돼 소극장 작품임에도 70만 명이 넘는 누적 관객수를 기록했다. 김민기는 생전 인터뷰에서 학전 역사상 가장 의미 있는 순간으로 2008년 상연된 '지하철 1호선'의 4000번째 무대를 꼽았을 정도다. 이러한 공로로 김민기는 생전 백상예술대상 음악상, 한국평론가협회 음악극 부문 연극상, 서울연극제 극본상 및 특별상, 제35회 동아연극상 작품상, 제6회 한국뮤지컬대상 특별상, 제10회 한국대중음악상 공로상, 대중문화예술상 문화훈장 은관 등을 받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극장 불황기 속에 학전도 힘을 잃어갔다. 고인이 건강 악화에도 자리를 지켰으나 지난 3월 결국 학전은 문을 닫았다. 이후 그 정신을 받은 아르코꿈밭으로 재탄생했다. 폐관과 함께 학전 대표에서도 물러난 김민기는 계속해서 '학전의 뒷것'을 자처하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는 김민기의 생애를 다룬 SBS 다큐멘터리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에도 고스란히 담겼다.

학전의 경영난 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중문화예술인들이 기부를 통해 마음을 보탰다. 그러나 위암 4기에 간까지 전이된 병마가 김민기의 마지막 의지를 가로막았다. 학전 대표에서 물러난 뒤 통원치료를 받으며 자태에서 요양중이던 김민기는 지난 20일 응급실로 이송된 뒤 다음 날 서울대병원에서 향년 73세로 끝내 눈을 감았다.

고인의 조카이자 학전 김성민 총무팀장에 따르면 학전 홈페이지 아카이브를 토대로 고인의 마지막 작업이 담긴 대본집, 무대, 음악 등을 한번에 볼 수 있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아르코 예술기록원에서 2~3년 후 공개될 예정이다.

/ monamie@osen.co.kr

[사진] OSEN DB. 학전 및 SBS 제공.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