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호주·사우디 피했다… 韓축구, 월드컵 3차 예선 중동 5개국과 한 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월드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태국전에 출전한 한국 베스트 일레븐 선수단이 경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축구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죽음의 조를 빗겨갔다.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이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아시아축구연맹(AFC) 본부에서 진행됐다. 그 결과 한국은 이라크, 요르단, 오만, 팔레스타인, 쿠웨이트와 함께 B조에 편성됐다.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나라를 피했다는 평가다. AFC로 편입된 후 언제나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는 강호이자 포트2 국가 중 FIFA 랭킹이 가장 높은 호주(23위)는 일본이 포트1에 위치한 C조로 향했다. 포트3에서 가장 주목 받던 사우디아라비아도 여기서 경쟁을 펼친다.

C조 남은 자리에는 바레인, 중국을 비롯해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인도네시아가 포진했다. 포트1 이란이 버티던 A조로는 카타르, 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 키르기스스탄, 북한이 향했다.

스포츠월드

사진=아시아축구연맹 공식 S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편안한 조를 받아들었다는 평가다. FIFA 랭킹도 22위로 가장 높다. 이라크(55위), 요르단(68위), 오만(76위), 팔레스타인(95위), 쿠웨이트(137위)가 뒤를 잇는다. 지난 아시안컵에서 조별리그 무승부(2-2), 4강전 패배(0-2)의 굴욕을 겪은 상대인 요르단과 재회하지만, 오히려 설욕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가장 큰 변수는 상대할 다섯 국가 모두 중동에 위치했다는 점이다. 예로부터 중동 원정은 상대 국가의 객관적인 전력을 떠나 무더운 날씨 등의 여러 요인을 제어해야 하는 어려움이 뒤따랐다. 험난한 일정을 돌파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진 한국 축구다.

월드컵으로 향하는 사실상 마지막 길목이 될 3차 예선은 오는 9월부터 다음해 6월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팀당 10경기를 치른다. 각 조 1,2위가 월드컵 본선 진출 티켓을 얻는다. 조 3,4위는 2장의 티켓을 두고 최대 대륙별 플레이오프까지 거칠 4차 예선을 치러야 한다. 한국은 조 1,2위로 직행 티켓을 챙길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오는 9월 5일 홈에서 열릴 팔레스타인전으로 첫발을 내디딘 후, 10일 오만 원정을 치른다. 10월에는 요르단 원정-이라크 홈 경기가 예고됐다. 11월이 핵심이다. 쿠웨이트-팔레스타인 원정을 연달아 소화해야 한다.

이어 다음해 3월에 있을 오만-요르단과의 홈 2연전, 6월에 열릴 이라크 원정-쿠웨이트 홈 경기를 끝으로 최종 예선 일정을 마치게 된다.

사령탑이 여전히 공석인 한국 축구는 빠른 시일 내로 감독 선임을 완료하고 월드컵을 향해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번 월드컵 본선행이 확정된다면 한국은 1986 멕시코 월드컵을 시작으로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허행운 기자 lucky77@sportsworldi.com

ⓒ 스포츠월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