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최다 실점' 김두현 전북 감독 "끈끈한 축구 필요...자신감 잃는 건 사치다"[전주톡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OSE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OSEN=전주, 고성환 기자] 김두현 전북현대 감독이 끈끈한 축구로 승점을 가져오겠다고 밝혔다.

전북현대는 26일 오후 7시 30분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하나은행 K리그1 2024 19라운드에서 포항 스틸러스와 맞붙는다.

현재 전북은 3승 6무 9패, 승점 15로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 반면 포항은 9승 6무 3패, 승점 33으로 3위를 달리고 있다. 한 경기 더 치른 선두 김천(승점 36)과는 3점 차.

전북은 일단 탈꼴찌가 시급하다. 이번 경기 안방에서 승점 3점을 추가한다면 11위 대전(승점 18)과 동률을 이루며 최하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일단 승리하고 봐야 하는 상황.

전북은 지난달 말부터 김두현 감독에게 정식으로 지휘봉을 맡겼지만, 아직 승리가 없다. 리그 4경기에서 1무 3패에 그치며 아쉬움을 남겼다. 주중 열렸던 코리아컵 16강에서도 K리그2 김포FC에 0-1로 무릎 꿇었다.

경기 전 취재진과 만난 김두현 감독은 "지금 우리가 실점이 제일 많더라. 리드하는 경기보다는 실점하지 않으면서 끈끈하게 갈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공격에 무게 중심을 주면서 리드하는 축구를 원하지만, 현실이 강등권"이라며 "매 경기 1점이라도 따는 게 우선이다. 여름 이적시장도 있고 돌아오는 선수들도 있다. 그러면 분명 좋아질 수 있으니 일단 승점 관리를 해야 한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에르난데스가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김두현 감독은 "풀타임은 아직 안 된다. 이제 재활 단계를 넘어서 공을 차는 정도다. 많은 시간 출전은 안 된다. 근력도 올라오고 체중도 많이 빠졌다. 재활을 힘들게 시켰다. 이제 다치지 않는 게 중요하다. 부상 없이 잘하면 좋겠다"라며 "20분 정도 출전을 예상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OSE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테랑 미드필더' 한국영이 선발 데뷔전을 치른다. 김두현 감독은 "경험을 최대한 살리고 싶었다. 또 실점을 줄이는 데 주력하면서 경기를 운영해야 한다. 우리가 두 경기에서 득점이 없다 보니까 안정적으로 가려 한다. 순위가 좀 위에 있으면 두 가지 모두 고려할 텐데 지금은 그럴 입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여름 영입도 준비 중이다. 김두현 감독은 선수단 보강에 관해 "계속 소통을 하고 있다. 선수를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쟁자가 있으면 동기부여도 되고 긴장감 속에서 준비를 더 잘 할 수 있다. 지금은 그러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이제 한 명씩 들어오고 하니 좀 나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전에서 뼈아픈 실수를 범한 정태욱이 벤치에서 출발한다. 김두현 감독은 "그냥 하루만 좀 힘들게 놔뒀다. 그 이후에는 경험이라고 얘기했다. 본인도 얼마나 힘들겠는가"라며 "미안하고 죄송하다고 얘기하더라. 경기는 이제 끝난 거다. 힘들겠지만, 다시 안정을 찾길 원한다. 그래야 한다. 물론 뼈아프지만, 정태욱의 마음이나 준비 자세가 달라지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전북이 최다 실점(30실점)에 머무르고 있는 이유는 뭘까. 김두현 감독은 "다각도로 얘기할 수 있다. 일단 수비만의 문제가 아니다. 공격에서부터 90분 내내 수비 조직이 갖춰져야 한다. 힘들고 지칠 때 상대보다 얼마나 한 발 더 뛸 수 있느냐도 체력적인 부분이다. 또 교체 대응하는 부분도 있다. 어느 하나 문제라기보다는 시즌을 시작하기 전에 전체적으로 준비가 철저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라고 얘기했다.

끝으로 김두현 감독은 위기 의식 이야기가 나오자 "나뿐만 아니라 선수들도 구단도 심각하게 느껴야 한다. 자신감이 떨어지고 심리가 위축되고 하는 건 어떻게 보면 사치다. 어떻게든 발악해서 올라가려 해야 한다. 그런 정신 무장이 돼 있어야만 벗어날 수 있다. 안일하게 생각하다간 다 힘들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finekosh@osen.co.kr

[사진]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