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파리올림픽 D-30] 폭염에 노(NO) 에어컨까지…생지옥 파리, 현실 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월드

프랑스 파리 에펠탑에 올림픽 조형물이 설치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월드

프랑스 파리 에펠탑에 올림픽 조형물이 설치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대보단 걱정이 크다.

2024 파리 올림픽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완전히 개방된 대회를 표방한 이번 대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데믹(대유행)을 마치고 엔데믹(풍토병화)에 접어든 이래 처음 치러지는 스포츠 대축제다. 높은 기대만큼 우려도 크다. 폭염과 안전 등 대회 외부적인 이슈가 끊이질 않는다.

◆폭염 속 노(NO) 에어컨

대회가 다가오면서 폭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역대 가장 더운 올림픽으로 알려진 2020 도쿄 올림픽(2021년 개최)보다 더 무더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파리의 여름 날씨는 섭씨 40도가 넘는 폭염으로 유명하다. 열섬현상(도시의 기온이 교외보다 높은 현상)으로 폭염의 빈도가 잦아지는 등 무더위가 도시를 뒤덮는 일도 빈번하다.

미국 매체 CBS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1924년 파리에서 열린 마지막 올림픽 이후로 평균 기온이 약 섭씨 3.1도 상승했다. 폭염의 빈도와 강도도 점점 높아진 상태다. 보고서는 “올림픽 개막 5년 전인 2019년 7월 25일에는 파리의 기온이 역대 최고인 섭씨 42.6도를 기록했다. 프랑스에서 지난 여름에만 약 5000명이 무더위로 숨졌다”고 지적했다.

파리 올림픽 조직위원회 측은 마라톤과 철인 3종 경기 등 외부에서 장시간 경기를 펼쳐야 하는 종목들을 이른 아침에 열기로 하는 등 폭염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3년 전 도쿄 올림픽에서 선수 100명당 1명꼴로 온열 관련 질환에 시달리기도 했기에 우려는 여전하다.

선수촌에 에어컨이 없는 점도 우려된다. 조직위는 친환경 올림픽을 표방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 때 선보였던 골판지 침대를 재사용한다. 또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이유로 선수촌에 에어컨을 설치하지 않았다. 대신 물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을 가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할 경우 저공해 이동식 냉방 장치를 빌려주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섭씨 40도를 넘나드는 날씨에 에어컨 없이 생활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일부 국가들은 자체적인 대안을 내세우고 있다. 대한체육회는 친환경 특수 냉매제를 활용한 쿨링재킷과 쿨링 시트를 제작해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나눠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영국, 호주, 덴마크 등 자체적으로 에어컨을 준비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국가별 재정적인 사정에 따라 지원의 격차가 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은 에어컨 지원에 난색을 보이기도 했다. 나라별 냉방 빈부 격차가 선수의 건강이나 경기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생겼다.

조지나 그레농 조직위 환경 관리 담당은 “탄소 발자국을 줄여야 하는 세상에서 실내 온도를 18도로 유지하며 여름을 날 필요는 없다”면서 “(에어컨을 설치하겠다고 밝힌 결정에) 안타깝다”고 유감을 표했다.

스포츠월드

프랑스 파리 센강의 전경. 사진=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전 우려도 여전

개회식은 근대 올림픽 128년 역사상 최초로 스타디움이 아닌 야외, 그것도 센강 위에서 배를 타고 열린다. 배 94척이 5000여명의 선수를 태우고 총 6㎞에 걸친 수상 퍼레이드를 펼칠 예정이다. 30만명에 이르는 관람객은 양쪽 강변과 다리 10여 개에 마련된 관람석에서 지켜본다.

개방된 공간에서 개회식이 열리기 때문에 테러 위협이 끊이질 않는다. 프랑스 정부는 만일의 상황을 대비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센강 개회식을 고수하고 있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도 “모두가 안전할 것”이라며 힘을 실었다.

센강에선 철인 3종 수영과 수영 마라톤으로 불리는 오픈 워터 스위밍이 치러진다. 그러나 세균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드러나 수질 문제가 불거졌다. 최근 프랑스 정부와 파리시, 조직위는 수질 개선을 자부하고 있으나 선수들의 건강과 안정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여전하다.

프랑스 정부는 수질 개선을 위해 현재까지 최소 14억 유로(약 2조815억원)를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발한 일부 시민들이 ‘센강에 대변을 싸자’는 위협적인 캠페인까지 벌이는 등 프랑스 정부를 향해 수위 높은 비판을 이어간다.

최정서 기자 adien10@sportsworldi.com

ⓒ 스포츠월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