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이슈 넷플릭스 세상 속으로

넷플릭스 거듭된 자막 논란, 대안책 없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넷플릭스 '더 에이트 쇼' 동해 일본해 표기 논란
과거부터 수차례 지적 받았으나 개선 無
예방할 수 있는 대안책 필요 지적
한국일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에이트 쇼'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자막 표기한 것에 문제를 제기했다. 서경덕 교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가 '하백의 신부' '사냥의 시간' 그리고 '더 에이트 쇼'까지 연이어 자막 논란에 휩싸였다. 동해 일본어 표기부터 김치 파오차이 변역까지 국내 대중에게 예민한 사안임에도 거듭된 실수를 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실수가 반복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더 에이트 쇼'의 한 장면을 캡처한 사진과 함께 공개적으로 문제 제기에 나섰다. 서 교수는 배우 류준열이 애국가를 부르는 장면 중 '동해물과 백두산'의 스페인어(라틴아메리카) 자막이 일본해로 잘못 표기된 것을 지적하면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넷플릭스이기에 즉각 항의 메일을 보냈다"면서 "전 세계 시청자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최대한 빠른 시정을 촉구한다"고 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넷플릭스 관계자는 본지에 "일부 언어의 자막에서 일본해 표기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과정에 있다. 유사한 사례가 없을지 검토하고 추후 번역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잘못을 인정했다. 특히 '더 에이트 쇼'의 경우 공개 이후 넷플릭스 글로벌 시청률 TOP 10 시리즈(비영어) 부문 1위에 올랐다. 많은 이들이 시청한 만큼 잘못된 정보의 확산이 우려되는 지점이다.

넷플릭스는 2021년 tvN 드라마 '하백의 신부' 공개 당시 프랑스어 자막에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바 있다. 또 JTBC 드라마 '시지프스' 때도 마찬가지로 프랑스어 자막으로 서해에 대해 "중국에 뿌리를 둔 이름"이라고 설명했다. 오리지널 시리즈인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의 중국어 자막에는 김치가 '파오차이(泡菜)'로 번역되기도 했다. 2020년 공개된 '사냥의 시간'에서도 독일어 자막에서 동해가 일본해로 잘못 번역된 것이 발견됐다.

취재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해외 자막 표기 시스템은 각 국가 지역별로 현지화 작업을 하는 로컬라이징 전문가로 구성돼 작업이 이뤄진다. 다만 이 지역별 전문가가 자막을 다는 과정에서 한국 문화 감수성을 고려해 검수하는 장치는 아직까지 부재한다. 결국 넷플릭스의 '더블 체크'가 유일한 대안책이다. 해외 시청자들이 국내 콘텐츠를 시청할 때 더빙보다 자막을 더욱 선호하기 때문에 앞서의 자막 표기 실수가 이어질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지난해 넷플릭스의 CEO 테드 서랜도스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K-콘텐츠에 4년간 25억 달러(약 3조 2,257억 원) 투자를 약속했다. '오징어게임'과 '지금 우리학교는' '더 글로리'가 연이어 흥행을 일구면서 K-콘텐츠의 입지가 더욱 올라간 것이 배경이 됐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이슈가 반복되면서 넷플릭스를 향한 부정적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이에 넷플릭스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적지 않다.

넷플릭스는 논란이 불거질 때마다 즉각적인 수정으로 조치를 취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글로벌 영향력을 갖고 있는 넷플릭스의 자막 오류 논란은 별다른 대안책이 없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사과와 수정으로 논란에 대처하는 것은 단순히 위기 모면에 불과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우다빈 기자 ekqls0642@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