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 폭 다시 3%대
정부, 치솟는 물가잡기 총력전
13개 품목 할인예산 15억서 ↑
6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가격표를 보고있는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6일 발표된 2월 소비자물가 상승(연 3.1%)의 주범은 신선식품이었다. 지난해 10월부터 매달 두 자릿수 상승 행진을 이어오던 신선식품 지수는 지난달 20.0% 올라 3년5개월 만에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특히 사과는 지난 1월에 56.8%에 이어 2월에는 71.0% 급등했다. 지난해 봄 저온 피해로 착과 수가 감소한 데 이어 여름철 집중호우, 수확기 탄저병 발생 등이 겹치면서 생산량이 30% 급감했다. 검역 문제로 수입되지 않는 만큼 가을 수확철까지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사과값이 치솟으면서 대체재인 다른 과일의 가격도 급등했다. 특히 겨울철 수요가 늘어나는 귤은 1월 들어 39.8% 올랐으며, 노지 생산량 감소까지 겹치면서 지난달에는 78.1% 상승했다.
정부는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를 잡기 위해 재정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사과와 대파 등 13개 품목 납품단가 지원 예산을 15억원에서 204억원으로 확대해 유통업체 판매가격에 직접 연동되도록 하겠다”며 “참외가 본격 출하되는 4월까지 과일과 채소를 중심으로 전방위적 대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의 노력에도 소비자 체감물가는 쉽게 떨어지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이날 한은 본관에서 물가상황점검회의를 열고 “근원물가가 기조적으로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산물 등 생활물가를 중심으로 높아졌다며 “농산물 등 생활물가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수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물가 흐름은 매끄럽기보다 울퉁불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정학적 리스크, 국내외 경기 흐름, 공급 상황 등과 맞물려 물가상승률이 오르락내리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세종=안용성 기자, 박미영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