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광주=정다워 기자] 광주FC가 개막전에서 FC서울을 침몰시켰다.
광주는 2일 광주축구전용구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4 개막전에서 서울에 2-0 승리했다.
시즌 첫 경기에서 완승을 거두며 기분 좋게 막을 열었다.
두 골 차 승부였는데 경기력 면에서는 광주가 완승을 거둔 경기였다.
광주는 킥오프 이후 경기를 장악하며 공격을 주도했다. 공을 소유하며 특유의 짧은 패스를 통해 전진하는 플레이로 득점 기회를 모색했다. 정호연과 최경록을 중심으로 허리를 장악했고, 원활한 패스 플레이로 서울 수비를 흔들었다. 한 두 번의 터치, 패스를 통해 서울의 미드필드, 수비 라인을 허물었다.
변수 변화가 있는 편이지만 지난해와 비교해 완성도는 나아진 모습이었다. 더 빠르고 섬세한 패스 플레이가 빛났다.
새로운 윙어 가브리엘은 폭발적인 스피드에 완급 조절로 측면을 허물었다. 최경록은 2선과 3선을 자유롭게 오가며 허리를 장악했다. 센터백 포포비치는 안정적인 수비 능력을 보이면서도 광주의 후방 빌드업을 책임지며 공격의 시발점 구실을 잘 해냈다. 왼쪽 사이드백으로 출전한 김진호도 기동력으로 활기를 더했다. 뉴페이스들의 활약이 개막전부터 돋보였다.
줄기차게 공세를 펼치던 광주는 전반 20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다. 왼쪽 측면에서 김진호가 빠르게 전진해 페널티박스 모서리까지 진입했고, 공은 안혁주, 이건희를 거쳐 이희균에게 향했다. 박스 밖에서 공을 잡은 이희균은 강력한 오른발 중거리슛을 시도했다. 공은 그대로 골키퍼 최철원 손을 맞고 골대 안으로 빨려 들어갔다. 광주가 흐름을 잡는 순간이었다.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선제골을 넣은 이후에도 광주는 공세를 멈추지 않았다. 반면 급해진 서울은 좀처럼 기회를 만들지 못했다. 롱볼을 통해 기회를 찾았지만 여의찮았다.
광주는 전반전 슛 횟수에서 8대3으로 크게 앞섰다. 유효슛도 4대1로 차이가 컸다. 광주가 지배한 전반전이었다.
후반 시작과 동시에 서울은 조영욱과 김신진을 빼고 일류첸코와 김경민을 투입하며 공격 라인에 변화를 줬다. 사이드백 김진야, 박동진도 라인을 올려 공격에 깊이 가담했다. 그러면서 서울이 조금씩 주도권을 쥐기 시작했다.
하지만 후반 중반을 지나면서 광주도 다시 흐름을 회복했다. 후반 19분 최경록 대신 박태준을, 이희균 대신 오후성을 투입해 잠시 물러났던 라인을 다시 올려 주도권을 쥐었다. 서울의 공세도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예상 외로 고전하는 시간이 길어지자 서울의 김기동 감독은 후반 31분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출신의 슈퍼스타 제시 린가드를 투입했다. 린가드는 2선 중앙에서 위협적인 플레이를 구사했다. 후반 38분 오른쪽 측면에서 정확한 크로스로 일류첸코의 헤더를 돕기도 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득점에는 실패했다.
광주는 잔여 시간 한 골 차 리드를 잘 지키다 추가시간에 추가골을 넣었다. 코너킥 상황에서 가브리엘이 쐐기골을 터뜨리며 경기를 마무리했다.
이날 경기는 김기동 감독의 서울 데뷔전이었다. 린가드가 K리그에 첫 선을 보인 경기이기도 했다. 서울이 더 주목받은 경기였지만, 주인공은 이정효 감독의 광주였다.
광주는 지난해 최저 연봉으로 3위에 오르며 엄청난 파란을 일으켰다. 개막전에서 선보인 경기력이라면 광주는 올해에도 상위권에 자리할 가능성이 크다. weo@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