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만에 2%대로 진입
석유류 가격 둔화 영향
사과 56.8% 상승 등 이달에도 신선식품 큰폭 올라
서민들 장바구니 부담을 커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15(2020년=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올랐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7월 2.4%까지 둔화했다가 8월 3.4%, 9월 3.7%로 상승하는 등 5개월 연속 3%대를 이어갔다. 기상 이변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제 유가 불안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7월(2.4%) 이후 가장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둔화한 배경은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가공식품 가격 둔화 흐름이 이어진 게 주요 요인이다. 석유류는 지난해 12월(-5.2%)에 이어 올해 1월에도 -5.0%로 하락세가 나타났다. 1월 중순까지 국제유가는 중동 사태 확산 가능성이 축소되면서 안정된 흐름이 이어졌다. 가공식품은 12월 4.2%에서 3.2%로 둔화했는데, 국산 증류주에 붙는 세금이 줄어들면서 소주 출고가가 낮아진 영향이 컸다. 소주 가격은 전월 대비 6.3%, 전년 같은 달보다 0.6% 낮아졌다.
정부의 전기요금 동결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월에는 전기료가 전월 대비 9.2%, 전년 동월 대비 29.5% 상승하면서 물가가 크게 뛰었었다. 올해 1월 전기·가스·수도 가격 상승률은 12월 9.7%에서 5.0%로 둔화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 동향 통계심의관은 “전년에는 전기료 인상 등이 있었지만 올해는 1분기 요금을 동결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신선식품은 이달에도 큰 폭으로 올라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은 이어졌다.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10월 13.3%, 11월 13.7%, 12월 14.5%에 이어 올해 1월에도 14.4%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2017년 1월(15.9%) 이후 최대치로 상승했다. 특히 아몬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실 가격을 반영하는 신선과실지수는 전년과 비교해 28.5% 급등했다.
농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15.4% 올랐다. 특히 사과(56.8%), 배(41.2%), 토마토(51.9%), 파(60.8%) 등이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폭설 등에 따른 기상 여건 악화로 생산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사과와 배는 1년에 한 번 정도 거두는데 생산량 자체가 떨어져 있는 상태”라면서 “설 기간 가격 안정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가 둔화 흐름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 이후 중동에서 첫 미군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중동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어 국제 유가가 재상승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2월까지 70달러대를 기록했던 두바이유는 82.4달러까지 오른 상태다. 겨울철 지속된 이상기후도 불안 요인이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중동지역 불안 등으로 국제유가가 80달러대로 재상승하는 등 2~3월 물가는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2%대 물가가 조속히 안착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면서 “가격이 높은 사과·배 등의 가격 안정을 위해 농축산물 할인지원 예산을 100억원 추가 투입하고 올해 사과·배 계약재배 물량도 8000t 확대해 향후 수급 불안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