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프로축구 K리그

2023년 K리그1 최다 연봉 지출은 울산 아닌 전북…강등 수원은 6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컷뉴스

전북 현대.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K리그1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쓴 구단은 전북 현대였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4일 2023년 K리그 연봉 지출 자료를 공개했다. 연봉은 기본급과 각종 수당(출전·승리·공격포인트 수당 및 기타 옵션)을 더한 실지급액으로 K리그와 FA컵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수당이 포함됐다. 산출 대상은 2023년 한 번이라도 등록된 적인 있는 모든 선수들로, 시즌 절반만 팀에 있었던 경우 0.5명으로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K리그1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지출한 구단은 챔피언 울산 HD가 아닌 4위 전북 현대였다.

전북은 198억767만7000원을 선수들에게 지급했다. 울산은 183억4073만1000원을 썼다. 다만 1인 평균으로는 울산이 5억7766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북의 1인 평균은 4억804만6000원이다.

연봉이 순위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전북, 울산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132억 3965만5000원을 쓴 FC서울은 7위, 네 번째로 많은 119억216만6000원을 쓴 제주 유나이티드는 9위에 머물렀다. 특히 106억8038만9000원으로 연봉 지출 순위 6위였던 수원 삼성은 최하위로 K리그2 강등의 아픔을 겪었다.

반면 59억1467만3000원으로 가장 적은 돈을 지출한 광주FC는 3위 돌풍을 일으켰다. 포항 스틸러스 역시 94억3257만5000원으로 연봉 지출 순위 9위에 자리하고도 2위라는 성적을 냈다.

인천이 118억9287만2000원 5위, 대전하나시티즌이 99억1387만6000원 7위, 강원FC가 96억1117만6000원 8위, 수원FC가 93억9038만5000원 10위, 대구FC가 84억494만5000원 11위다.

2023년 K리그1 최고 연봉자는 15억5000만원의 세징야(대구FC)였다.

국내 선수 기준으로는 김영권이 15억3000만원으로 최고 연봉자였다. 외국인 선수를 포함해도 세징야 다음으로 많은 연봉이었다. 바코(울산)가 15억2000만원, 구스타보(전북)가 14억6000만원, 김진수가 14억2000만원), 제르소(인천)가 14억1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K리그1 선수 평균 연봉은 2억9545만2000원. 국내선수 평균 연봉은 2억3158만8000원, 외국인 선수 평균 연봉은 7억7535만1000원이었다.

K리그2에서도 높은 연봉이 성적의 보증수표는 아니었다. 군팀인 챔피언 김천 상무가 집계에서 제외된 가운데 2위 부산 아이파크가 59억1467만3000원으로 가장 많은 연봉을 지출했다. 부산은 K리그2 2위로 성적을 냈다. 하지만 54억8393만2000원 연봉 지출 2위 서울 이랜드는 11위에 머물렀고, 26억6002만1000원으로 연봉 지출 11위를 기록한 김포FC는 당당히 3위에 올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