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나토 전 사무총장 “일부 회원국, 우크라에 지상군 보낼 수도···동유럽 특히 불안”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차가 러시아군과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도네츠크주 차시브야르 인근을 지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가 우크라이나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장하지 않는다면 일부 회원국이 자발적으로 우크라이나에 지상군을 파병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7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전 나토 사무총장은 내달 11일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를 앞두고 유럽과 미국을 순방하며 이 같은 유럽 내 기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라스무센 전 사무총장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의 대통령의 고문으로 활동해 왔다.

라스무센 전 사무총장은 “일부 회원국들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문제가 정상회의 의제에서 제외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집단방위체제를 운용하는 나토 가입을 희망해 왔다. 나토 설립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집단방위 조약 5조는 회원국 중 한 국가가 공격을 받으면 동맹국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 무력 사용을 포함한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2일에도 “서방 군사동맹이 받아들일 준비가 되면 언제든지 가입할 준비가 돼 있다”며 나토 합류 의지를 재차 밝힌 바 있다. 전쟁 당사자인 우크라이나는 당장 나토 가입이 어렵더라도 전쟁이 끝난 뒤 자국이 나토에 합류할 것이라는 회원국 차원의 ‘정치적 결정’을 희망하고 있다. 나토 가입 약속을 받는 것만으로도 러시아를 압박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동유럽 회원국들도 이런 구상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지만, 나토의 주축인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언젠가는 회원국이 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 이상의 ‘확답’은 주저하고 있다.

라스무센 전 사무총장은 “나토가 우크라이나가 갈 명확한 경로에 동의하지 못한다면 일부 국가가 독자적인 조치에 나설 가능성이 분명히 있다”면서 폴란드를 언급했다. 그는 “폴란드가 국가 차원에서 더 크게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발트해 다른 국가들이 이를 따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여기에는 지상군 파병 가능성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어 “폴란드는 우크라이나가 빌뉴스에서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면 따로 자발적인 연합을 구성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할 것”이라며 그들은 너무 오랫동안 서유럽이 러시아에 대한 자신들의 경고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고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다음주 나토는 집단방위 조약 5조가 발동된 상황을 가정해 사상 최대 규모의 방공 훈련을 벌인다. 독일에서 열흘간 열리는 이 훈련에는 군인 1만명과 250대의 전투기 등이 동원될 예정으로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에 맞춰 나토의 방위능력을 과시하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