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감산 효과에 AI 열풍까지…반도체 '2분기 바닥론' 힘 받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반기 감산 효과 본격화…AI 시장 성장에 메모리 업체도 수혜 예상

삼성·하이닉스 3분기 실적 눈높이도 상향…업황 반등 '청신호'

연합뉴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K-반도체를 이끄는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의 '2분기 바닥론'이 점차 힘을 받고 있다.

올해 3분기부터 반도체 감산 효과가 본격화하고,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반도체와 서버 수요가 살아나면서 업황이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런 기대감을 반영하듯 양사의 3분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도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 3분기 실적 눈높이 소폭 상승…'불황 터널' 막바지 기대감

4일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3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들의 실적 전망치(컨센서스)를 집계한 결과,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전망치는 3조6천823억원이다.

1개월 전 집계한 전망치(영업이익 3조6천430억원)와 비교하면 1.1% 증가한 것이다.

동시에 1분기 영업이익 6천402억원,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2천611억원에 비하면 대폭 증가하는 것이다.

또 SK하이닉스는 3분기 2조3천918억원의 영업손실이 예상된다.

1개월 전의 전망치(영업손실 2조3천985억원)와 비교하면 손실 규모가 소폭이나마 줄어든 것이다.

1분기 영업손실 3조4천23억원, 2분기 영업손실 전망치 3조3천207억원과 비교하며 적자 규모가 1조원가량 감소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처럼 증권사들의 전망치가 소폭이나마 개선된 것은 '바닥 탈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SK하이닉스 10나노급 5세대 DDR5, 데이터센터 호환성 검증 돌입
(서울=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10나노급 5세대(1b) 기술이 적용된 서버용 DDR5 D램을 세계 최초로 인텔에 제공해 호환성 검증 절차에 돌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은 SK하이닉스 1b DDR5 서버용 64기가바이트 D램 모듈. 2023.5.30 [SK하이닉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 감산 효과 본격화…"공급 축소만으로도 수급 개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부진은 반도체 수요 위축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D램과 낸드플래시 재고는 쌓이고, 제품 가격 하락도 이어지고 있다.

감산은 없다던 삼성전자마저 감산에 동참했지만 2분기까지는 감산이 수요 위축을 따라가지 못하는 형국이다.

증권가에서는 감산을 통한 공급 축소 효과는 3분기부터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4∼5월부터 감산을 시작한 삼성전자의 공급 축소 효과는 8∼9월부터 수급에 본격 반영될 전망"이라며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 키옥시아 등의 공급 축소 효과는 2분기부터 이미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3분기부터 뚜렷한 수요 증가가 없다고 해도 공급 축소만으로도 반도체 수급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산 효과로 올해 연간 글로벌 D램 수요가 공급을 앞지를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올해 글로벌 D램 공급량이 2Gb(기가비트) 칩 환산 기준 1천43억6천200만개로 총수요(1천54억1천900만개)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트렌드포스는 4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공급(1천55억5천400만개)이 수요(1천46억6천200만개)를 웃돌 것으로 봤는데, 연간 전망치가 '공급 초과'에서 '수요 초과'로 바뀐 것이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도 "3분기부터 D램 고객사 재고 축적 및 공급사 재고 소진 구간에 돌입할 것"이라며 "3분기부터 D램 가격 하락 폭이 크게 줄어들며 4분기부터 가격이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인공지능 챗봇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 엔비디아 '깜짝 실적'…AI가 수요 회복 촉매 될 수도

수요 측면에선 AI가 반도체 업황 반등의 '촉매'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깜짝 실적'을 내면서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도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엔비디아가 호실적을 낼 수 있었던 것은 AI용 반도체 수요 증가 덕분이다.

챗GPT와 같은 AI 분야 정보처리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쓰이는데, 엔비디아는 세계 시장에서 GPU 공급의 90%를 맡고 있다.

또 엔비디아 GPU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가 탑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AI와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정보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고성능·고용량 메모리 반도체 수요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AI 서버 시장의 성장성도 밝다.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AI 서버 출하량이 120만대로 작년보다 38.4% 증가할 것으로 봤다.

또 2022∼2026년 AI 서버 출하량이 연평균 22%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AI 반도체 출하량은 작년보다 46% 증가하고, 특히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는 작년보다 58%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엔비디아 실적과 관련 "기업들은 AI 경쟁에서 밀릴 경우 영원히 도태될 수 있다는 공포가 생겼다"며 "빅테크들의 AI 관련 투자가 재점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다만 그는 "메모리가 과연 AI의 수혜를 볼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해 의심의 눈초리를 가진 투자자들도 적지 않다"며 "당장 IT 소비의 의미 있는 회복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kih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