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長 29명, 조선업계에 취직
지난 2월 7일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이 울산 동구에 도착한 모습. 이들은 현대중공업 옛 사택에 거주하며 현대중공업 협력업체에서 일하고 있다./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8월 카불 함락 이후 200만명에 달하는 아프가니스탄 국민들이 해외 피란길에 올랐다. 이들 중 주아프간 한국 대사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과거 한국 관련 기관에 몸담았던 ‘특별기여자’ 391명이 한국 땅을 밟았다. 전남 여수 해양경찰교육원에서 약 6개월간의 정착 교육을 거친 이들은 올 초부터 국내 지역사회 곳곳에 터를 잡고 생활하고 있다.
특별기여자 중 가장 많은 29가구(159명)는 울산광역시와 현대중공업 등의 도움으로 울산 동구에 거처를 마련했다. 이들 생계를 책임지는 29명의 가장들은 현대중공업 협력 업체에서 배관이나 도장(塗裝), 엔진 조립과 같은 일을 하고 있다. 이정숙 울산 다문화지원센터장에 따르면 주부들은 다문화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문화 교육을 받고 아이들은 인근 학교에 다니고 있다. 특별기여자들은 여권처럼 신분을 증명할 수단이 없어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특별기여자는 “통상적인 웹사이트 이용이나 일상 민원 처리, 계좌 개설 등 여러 방면에서 막히는 일이 많다”고 했다.
미국은 한국과 같이 중앙정부, 지역사회 등이 나서 아프간 이주민들의 정착을 돕고 있다. 미 국토안보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이후 미국으로 건너온 아프간 국민은 약 7만6000명에 달한다. 이들은 지자체 및 자원봉사단체가 제공하는 정착 프로그램을 통해 집과 직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이 미국에 머무를 수 있는 ‘임시 입국 허가’ 기간은 2년에 불과한 것이 문제다. 미 시애틀타임스는 “바이든 행정부는 이들에게 ‘추방 유예’ 같은 단기적 해결책이 아닌, 영주권 부여 등 장기적 대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정부뿐 아닌 대학, 기업 등 민간에서도 아프간 이주민들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5월 히로시마대학은 과거 유학생 신분이었던 아프간 국민 15명을 연구원으로 채용하고, 주거 등 생활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아프간과 국경을 마주 보고 있어 과거부터 난민 유입이 잦았던 파키스탄의 경우, 현재 150만명에 달하는 아프간 국민이 거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들은 파키스탄 정부와 탈레반의 우호적 관계 탓에 별다른 인도적 지원 없이 가난한 생활을 하고 있다고 미국 매체 더 디스패치가 지난달 보도했다.
[김동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