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이슈 물가와 GDP

日소비자물가 7년여만에 최대 상승…1천원 초밥도 없어진다(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엔화 약세 등 영향…가계부담 증가

연합뉴스

고유가 시대의 일본 주유소
(도쿄 교도=연합뉴스) 2022년 3월 16일 일본 도쿄의 한 주유소에 보통 휘발유 가격이 리터(L)당 170엔으로 표기돼 있다. 휘발유는 물가 상승을 주도한 품목으로 꼽힌다.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의 소비자물가가 7년여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국제 원자재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소비자의 주머니 부담이 커지는 양상이다.

일본 총무성이 20일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 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4월보다 2.1%(신선식품 제외) 상승했다.

이는 2015년 3월(2.2%) 이후 7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당시에는 소비세율 인상 때문에 지수 상승률이 높았다.

2014년 4월 소비세율이 5%에서 8%로 인상되는 바람에 다음 해 3월까지 12개월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대를 기록했다.

소비세율 인상에 따른 급격한 상승기를 빼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2008년 9월(2.3%)에 이어 13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셈이다.

연합뉴스

도쿄의 슈퍼마켓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소비자물가는 작년 9월부터 8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신선식품을 포함한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2014년 10월(2.9%)에 이어 7년 6개월 만에 최고였다.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석유나 전기 등 에너지였다.

에너지 가격이 1년 전보다 19.1% 급등해 전체 물가를 1.38%포인트 끌어 올렸다.

전기료와 휘발유 가격이 각각 21.0%, 15.7% 상승했다.

신선식품을 제외한 식료품 가격도 2.6% 올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최근 엔화 가치가 기록적으로 하락하면서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총무성은 휴대전화 요금도 물가 상승에 영향을 준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지난해 봄 주요 이동통신사가 정부 압박을 받고서 휴대전화 저가 요금제를 도입했는데 기저 효과가 차츰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일본은행이 목표로 하는 수준(2%)을 넘어섰지만, 기업의 투자가 늘고 임금 인상이 소비 확대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달성하지 못하고 가계 부담만 키우는 상황이다.

일본 내각부가 18일 발표한 올해 1분기(1∼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2%(전 분기 대비, 계절 조정치)를 기록해 두 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개인 소비(민간 최종소비지출)는 0.03% 감소했다.

일본 내 기업·가계의 소득 총액을 보여주는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작년 4분기보다 0.7% 줄었다.

연합뉴스

도쿄의 슈퍼마켓
[연합뉴스 자료사진]


역시 일본은행 발표에 의하면 지난달 일본 기업물가지수 1년 전보다 10.0%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비교 가능한 통계 자료가 있는 1981년 1월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생필품 가격이나 외식비 등의 상승세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명 회전초밥 체인점 '스시로'는 1984년 창업 후 38년간 이어진 1접시 100엔(약 990원, 소비세 10% 별도) 메뉴를 올해 9월 말까지만 제공하고 폐지하기로 했다.

기존에 소비세를 포함해 110엔이던 상품의 가격을 10월부터 120엔으로 올린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고유가 및 물가 상승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2조7천9억엔(약 26조8천억엔)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했다.

연합뉴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sewonle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