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요약
마스코트 빙둔둔 인기몰이…기념품점 앞 장사진
인터넷 상에서도 품절 사태
인터넷 상에서도 품절 사태
[베이징(중국)=뉴시스] 김병문 기자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사흘 앞둔 1일 오전 중국 베이징 메인 미디어 센터 기념품 상점에 미디어 관계자들과 자원봉사자들이 입장을 위해 줄을 서 있다. 2022.02.01. dadazon@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베이징=뉴시스]김주희 기자 = 그야말로 없어서 못 판다.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마스코트 '빙둔둔'의 인기가 절정이다.
각국 취재진들이 상주하는 중국 베이징 메인미디어센터(MMC)에 입점한 기념품점에서도 빙둔둔을 영접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언제 어느 때 기념품점에 가도 제품 구매를 원하는 이들이 줄을 서고 있다. 한 번에 최대 20명의 사람만 기념품점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기 때문에 줄도 쉽게 줄어들지 않다.
매장 문이 열리자마자 달려가 구매하는 '오픈런'을 노리기도 어렵다. 기념품점은 매일 오전 10시 문을 여는데 빙둔둔을 구하고 싶은 이들은 이보다 일찍 와서 대기 중이다.
7일 영업 시작 1시간15분 전인 오전 8시45분 기념품점을 찾았을 때도 이미 수십명의 사람들이 장사진을 치고 있었다. 도무지 기다릴 엄두가 나지 않아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베이징=뉴시스] 김주희 기자=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메인 미디어센터 기념품 상점이 문을 열기 전부터 제품 구입을 원하는 이들이 줄을 서 있다. 2022.02.07.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빙둔둔의 뜨거운 인기를 체감할 수 있는 장면이다.
빙둔둔은 얼음으로 만든 전신 보호복을 입고 있는 팬더다. 얼음을 의미하는 '빙'과 활기차다는 뜻의 '둔둔'이 합쳐져 탄생했다.
귀여운 모습으로 호평을 받은 이 마스코트는 대회 개막 후 더 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개막 전과 비교하면 기념품점 대기 줄이 두 배는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기다릴 시간이 충분치 않은 사람들은 그저 유리창 넘어 비치된 제품을 구경만 해야 한다.
[베이징(중국)=뉴시스] 김병문 기자 =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 경기장에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 사전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2022.02.04. dadazon@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MMC에서 만난 자원봉사자는 "2주 전만 해도 구매가 가능했는데, 지금은 사람이 너무 많아서 우리도 기념품을 살 수가 없다"며 난감해했다. "개막식 후 인기가 더 많아진 것 같다. 주변 사람들이 빙둔둔 기념품을 사달라고 연락이 많이 오는데 구해줄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참을 기다려 기념품점에 발을 들여 놓는다고 해도 마음껏 구매할 순 없다.
솟구치는 인기에 구매 수량 제한이 내려져 열쇠고리나 인형 등은 1인당 1개만 살 수 있다.
MMC 기념품점만의 일은 아니다.
[베이징(중국)=뉴시스] 김병문 기자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을 이틀 앞둔 2일 오후 베이징 동계올림픽 첫 경기가 열린 베이징 국립 아쿠아틱 센터 외벽에 마스코트 빙둔둔이 보이고 있다. 2022.02.02. dadazon@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신화넷에 따르면 베이징 시내에 위치한 기념품점에서도 구매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영하의 날씨에도 2~3시간을 기다려 빙둔둔을 쟁취한다.
인터넷 상에서도 품절 사태가 일어난다.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티몰에서는 지난 4일 5000개의 빙둔둔 상품이 15분 만에 품절되기도 했다.
자오웨이둥 베이징올림픽 조직위원회 대변인은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빙둔둔 제품의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juhee@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