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이슈 [연재] 아시아경제 '과학을읽다'

코로나19 대확산, 공포에 질린 이들은 **을 원했다[과학을읽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초기 전세계 각국들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락다운(폐쇄)에 들어가자 상담 전화가 불이 나기 시작했다. 이전과는 달리 자살이나 가정 폭력에 대한 신고·상담이 아니라 코로나19에 대한 정보 제공과 외로움을 호소하는 이들의 전화가 줄을 이은 것이다. 또 일부 국가에선 정부의 재정 지원이 팬데믹으로 인한 자살률 증가를 막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가 최근 펴낸 논문에 따르면, 마리우스 브륄하르트 경제학과 교수 등 스위스 로잔대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6주간 미국, 중국, 레바논, 유럽 14개국 등 전세계 19개 국에서 이뤄진 800만통의 긴급구조전화(helpline) 통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지난해 초 각국의 긴급상담전화 통화량이 급증했고, 가장 많을 때는 이전 대비 35%나 늘어났다고 밝혔다. 주로 코로나19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외로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상담 전화를 걸어 왔다. 브륄하르트 교수는 "통화량 증가는 팬데믹에 대해 누군가와 대화를 나누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 독일과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선 정부의 락다운 조치가 더 강해진 후 자살 관련 상담 전화가 급증했다가 해고 노동자나 문을 닫은 자영업자들을 상대로 한 재정 지원금이 지급되자 줄어들었다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팬데믹으로 자살ㆍ약물 중독, 부부간 폭력, 아동학대 등 사람들의 정신 건강 위기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예측을 입증해주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 브륄하르트 교수는 이에 대해 "몇몇 개인들이 겪은 고통이나 사례 또는 다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지역적 연구 결과를 무시하라는 뜻은 이니다"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단지 우리가 수집한 대규모 긴급 상담 전화 데이터로부터 그같은 경향의 증거가 나오지는 않았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독일ㆍ프랑스의 사례와 관련해선 정부의 재정 지원이 자살을 방지하는 데 유의미한 역할을 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문문 드 슈드리 조지아공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독일과 프랑스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자살 관련 상담 전화를 줄이는 원인이 됐다고 확언할 수는 없지만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서 "정신 건강은 환경과 지역 사회 등을 통한 생태학적 경험에 영향을 받으며, 재정적 측면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