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연재] 아시아경제 '과학을읽다'

[단독]'거북이 걸음' 아리랑6호 위성, 10년 만에 쏜다[과학을읽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항우연, 해외 제작 부품 늦어지면서 발사 일정 지연

2019년 발사 계획 수 차례 미뤄, 내년 말 발사하기로 잠정 결정

최근 입고돼 총조립 진행 중....차질 있으면 전천후 정밀 관측망에 구멍 우려돼

아시아경제

아리랑5호(왼쪽)과 아리랑6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개발이 늦어지면서 대중들의 관심에서 사라졌던 다목적 실용 위성 '아리랑 6호'가 내년 말께나 발사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에 외주 줬던 핵심 부품의 제작이 늦어지면서 무려 3년을 허송세월하게 됐다. 덕분에 '현역'인 아리랑 5호가 설계 임무 기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홀로 운영되고 있어 국가적 지구관측 임무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8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ㆍ항우연)에 따르면 아리랑 6호의 발사 시기가 또 다시 연기돼 내년 하반기로 잠정 결정됐다. 올해 초만 해도 연말께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내년 말로 1년 더 미뤄진 것이다. 당초 2019년에서 지난해, 올해 말, 내년 말로 세 차례나 연기됐고 그나마 내년 말 발사 일정도 러시아 용역업체 측과 협의해야 하는 상황이다. 예정됐던 제작 및 발사 준비 기간 6년보다 3년이나 더 시간이 들게 생겼다. 보통 고성능 위성이라도 제작 기간이 5~6년인 걸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연기된 원인은 탑재체 핵심 부품인 영상 레이더(SAR) 의 안테나 제작을 담당한 해외업체(에어버스DS)가 납품을 제때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초 아리랑 6호 위성의 탑재체는 1000억원에 LIG 넥스원이 수주했고, 그 중 영상 저장 및 전송 장치는 국내 업체인 에이피우주항공이 200억원에 수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어버스DS가 제작한 SAR 안테나 등의 부품은 최근에야 항우연에 납품돼 탑재체 개발이 완료된 상태다. 항우연은 현재 총조립 및 위성체 통합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제작 업체인 LIG넥스원 및 에이피위성을 상대로 관련 규정에 따라 지체상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항우연 관계자는 "SAR 탑재체 해외부품의 국내 도입 지연과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탑재체 개발 업무가 늦어지면서 일정이 연기됐다"면서 "예산이 추가로 들어가거나 하지는 않았다. 탑재체 제작업체들에게 지체 상금을 부과할 지 여부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 한반도 관측·감시망에 구멍 날 수도

문제는 이 바람에 인공위성망을 이용한 한반도 관측ㆍ감시 시스템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리랑 6호는 원래 2013년 발사된 아리랑 5호(해상도 1mㆍ정규 임무 기간 5년)를 대체해 2019년부터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었지만 3년 이상 미뤄지게 됐다. 아리랑 5호와 6호는 영상 레이다를 통해 기상 상태와 관계없이 고해상도로 지상 관측 이미지를 촬영하는 게 주된 임무다. 즉 아리랑 1, 2, 3호 등이 적외선ㆍ가시광선 광학 장치를 달아 악천후때 임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점을 보완하고 있다. 특히 아리랑 6호는 50cm 해상도의 영상 레이더를 달아 길가에 놓아둔 의자의 모양까지도 알 수 있으며, 자동차의 차종도 맞출 수 있는 세계 최고 해상도의 장비를 갖출 예정이었다. 재난 및 재해 예측, 기후 관측, 자원 이용 관리 등에는 물론 북한 핵개발 및 미사일 발사 동향 감시 등 군사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아리랑 6호 발사가 늦어지면서 설계 수명을 넘긴 아리랑 5호가 홀로 임무를 계속 수행하고 있다. 정부는 전문가 검토 위원회를 열어 2018년, 2020년 두 차례 각각 2년씩 아리랑 5호의 임무 연장을 결정했다. 위성 본체ㆍ탑재체와 지상국 등 시스템 정상 작동 여부, 교신 및 궤도유지 상태, 안정적인 위성 운영 및 잔여 연료량, 영상품질의 우수성 등을 확인해 보니 추가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게 항우연의 설명이다. 아직까지 고장이 안나 다행이지만 만약 우주쓰레기 충돌이나 갑작스러운 고장이라도 나면 아리랑 6호가 발사될 내년 말까지는 우리나라 지구 관측 위성 네트워크에 구멍이 생기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항우연 관계자는 "다른 아리랑 위성들도 예상보다 훨씬 더 길게 임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면서 "아리랑 5호도 현재까지 건강하게 잘 작동하는 중이어서 임무에 차질이 없으며, 내년 8월 또 다시 연장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위성 개발 사업에선 핵심부품의 기술이 100% 개발돼 있지 않기 때문에 얼마든지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체계적인 사업 관리를 통해 차질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