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이슈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이재명 국감'...여야 대장동 의혹 두고 대충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8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 경기지사로서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와 국민의힘이 18일 경기도 대상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의혹의 몸통과 책임 소재를 두고 정면 충돌했다. 여당 대선 후보가 대선을 앞두고 터진 대형 의혹을 주제로 야당 의원들과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이례적인 전면전이 벌어졌다. 대장동 특혜 의혹의 설계자 논란에 이 후보는 “나는 공공이익환수의 설계자”, 국민의힘은 “(이 후보는) 아수라의 제왕”이라고 주장하며 부딪혔다. 공방이 가열되면서 국정감사는 여야 거대 정당이 맞붙는 차기 대선의 전초전 양상을 보였다.

이날 경기 수원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대장동 의혹을 두고 쟁점별로 부딪혔다.

경기지사 자격으로 국감에 참여한 이 후보는 “공공개발을 관철할 수 없어 국민에 좌절감을 드린 것은 제 잘못이고 국민 여러분께 책임감을 느끼고 사과드린다”면서도 ‘국민의힘 게이트’라는 기조 안에서 국민의힘 공세에 적극 반박했다. 이 후보는 이날 “대장동(사업)을 설계했지 대장동 게이트를 설계한 것은 아니다”면서 “(국민의힘은) 마치 민간사업자 내부 이익을 나누는 설계를 말한 것처럼 호도하고 싶겠지만 분명한 것은 성남시 공공환수액 내용, 방법, 절차, 보장책 등을 설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발이익을 100% 환수하려 했는데 (국민의힘이) 못하게 막아서 70%나마 환수한 게 이 사건의 진실”이라며 국민의힘에 화살을 돌렸다. ‘돈 받은 자 = 범인, 장물 나눈 자 = 도둑’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나와 “제가 진짜 화천대유의 주인이고 돈을 갖고 있다면 지나가는 강아지에게 던져줄지라도 (강기훈씨) 유서대필 조작한 곽상도 의원 아들 같은 분에게 한 푼도 줄 수 없다”고도 했다. 이 후보는 이날 국민의힘 출신인 곽상도 의원의 아들이 특혜 업체로 지목된 화천대유에서 퇴직금 등 명목으로 50억원을 받은 일을 거듭 언급했다.

이 후보는 국민의힘에서 성남시장으로서의 배임 혐의를 주장하는 데는 “황당무계한 일”이라며 “제가 민관합작으로 개발이익을 환수했는데, 개발이익을 민간에게 갖게 한 모든 자치단체장과 인허가권자는 모두 다 배임죄냐”고 말했다. 이 후보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받을 당시 변호사비 대납 의혹을 두고는 “총 14명의 변호사를 선임했고 2억5000만원 조금 넘는 변호사비를 다 송금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 후보를 대장동 의혹의 몸통으로 지목하고 후보 사퇴를 주장하며 공세를 폈다. 김도읍 의원은 이 후보를 “아수라의 제왕”으로 부르면서 “단 1원도 안받았다는 설계자는 돈을 만든 자, 돈을 가진 자 위에서 돈을 지배하는 자”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 후보의 과거 이력을 언급하면서 “청와대보다 감옥과 가깝다”며 “지금 이 자리도 그 분에겐 온당치 않다”고 했다. 서범수 의원은 영화 <아수라>의 일부를 틀면서 “대장동 게이트를 설계한 사람이 이 후보다. 최종 책임자는 이 후보가 아닌가.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했고, 이영 의원은 “‘깐부’ 대장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의 백마 탄 왕자가 이 지사”라고 했다.

국감 내내 여야가 부딪히면서 감정적 충돌이 반복됐다. 여당과 이 후보는 국민의힘을 겨냥해 “적반하장”(이 후보) “방귀 뀐 놈이 성낸다”(한병도 민주당 의원)고 한 반면 야당은 “왜 엉뚱한 답을 하나”(서 의원) “국회 권능을 무시하느냐”(박완수 의원) 고 비판했다.

유정인·곽희양 기자 jeongin@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