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관계 등 외교환경 조성 적극 나설 듯…미국과 대화 재개 가능성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문재인 정부에 등을 돌리고 대화를 외면했던 북한이 관계 개선을 모색함에 따라 향후 북미간 대화로 이어질지도 주목된다.
청와대와 북한은 26일 동시 발표를 통해 남북정상이 최근 여러 차례 친서를 주고받았다며 결과 그동안 단절됐던 남북 간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통신연락선들의 복원은 북남관계의 개선과 발전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락채널 재개에 머무르지 않고 향후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설 것임을 명확히 한 셈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문재인 대통령 |
북한이 임기가 채 1년도 남지 않은 문재인 정부에 다시 손을 내밀며 관계 개선을 도모하려는데는 좀처럼 가라앉을 줄 모르는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심각해진 경제난, 특히 식량난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초부터 코로나19에 따른 국경봉쇄로 식량과 비료 등 외부물자의 수입이 여의치 않은데다 장마와 연이은 태풍으로 곡물 생산에 큰 타격을 입었는데 올해도 이어지는 폭염과 가뭄으로 더욱 암담해진 상황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1월 8차 당대회에서 자력갱생에 의한 경제성장을 역설하며 새 5개년계획을 내놓았지만, 이행은 고사하고 당장 식량 부족으로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의 재현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실제 김 위원장이 지난달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지난해 태풍 피해로 알곡 생산계획에 미달한 것으로 해 현재 인민들의 식량 형편이 긴장해지고 있다"고 이례적으로 식량난을 공개적으로 인정했을 정도다.
김 위원장이 식량난으로 군량미와 전쟁비축미를 풀라고 특단의 명령을 내리기도 했지만, 사실 그동안 밝힌 '주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실질적인 생활 개선 약속'은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
심지어 '사회주의 형제국가' 쿠바에서조차 코로나19 경제난으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난 현실은 민생고가 심해질 경우 민심이 악화하고 체제 존립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불안과 우려가 작용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김 위원장이 직접 정치국 회의에서 "그 어떤 외부의 지원을 받지 않겠다"고 호언장담했지만 갈수록 수위가 높아지는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식량난까지 최악으로 치달으며 남북관계 개선에 다신 눈을 돌렸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번 북한의 조치는 단순히 남북관계 개선에 그치지 않고 내부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대내외 환경을 나은 방향으로 바꿔보겠다는 의도도 담겼을 수 있다.
사실 미중 갈등의 악화 속에서 후원국인 중국에만 의존해서는 코로나 백신 구입이나 경제난 타개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거기에다 바이든 미국 행정부도 출범 이후 북한에 조건 없는 대화를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남북관계 진전에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어 북한이 대외 환경 조성을 위해 미국과 대화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막혔던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고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했으며 나아가 같은 해 6월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을 갖는 등 한반도의 정세 변화에 '주동적'으로 나선 바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은 남북관계를 다시 진전시켜 나가자는데 뜻을 같이 했다고 한데다, 미국으로부터 대화제의를 받아놓은 상태에서 한반도 국면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전개시키기 위해서는 남북관계에 우호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선택의 폭을 넓히려는 사전 포석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hs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