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 연속 증가…기저효과에 경기회복·거리두기 완화 영향
취업자 증가 |
(세종=연합뉴스) 이보배 정수연 곽민서 기자 = 4월 취업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충격을 딛고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취업자가 6년 8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 4월 취업자 수 65만2천명↑…2개월째 증가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21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65만2천명 늘었다.
증가 폭은 2014년 8월(67만명) 이래 가장 컸다.
이로써 취업자 수는 2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3월(-19만5천명)부터 올해 2월(-47만3천명)까지 12개월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 3월(31만4천명)부터 증가로 돌아섰다.
이는 지난해 고용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에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최근 나타난 경기 개선 흐름이 고용 회복세에 기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국내 생산과 소비 확대, 수출 호조 등 경기회복과 완화된 거리두기가 유지되고 지난해 4월 고용 충격 기저효과가 반영돼 취업자가 2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4월 취업자는 전월 대비(계절조정)로도 6만8천명 늘면서 지난 2월 이후 석 달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정 국장은 "(고용 지표는) 전년 동월 대비로 보는데 요즘 계절조정 계열지수로 보면 전월 대비로도 상승하는 모습"이라며 "어느 정도 고용 개선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 취업자 증감·실업자 추이 |
◇ 전 연령대 고용률 상승…"30대는 취업 진입·유입 어려워"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46만9천명), 20대(13만2천명), 50대(11만3천명)는 취업자가 늘었으나 30대(-9만8천명), 40대(-1만2천명)는 줄었다.
정 국장은 "30대에서 취업 진입, 유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30대가 제조업·도소매업에 많이 종사하고 있는데 제조업은 20대를 중심으로 많이 증가했고, 도소매업은 여전히 감소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2만4천명), 건설업(14만1천명), 운수·창고업(10만7천명)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었다.
코로나19로 타격이 컸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3월 2만8천명 감소에서 4월 6만1천명 증가로 전환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2개월 만에 처음이다.
반면 도·소매업(-18만2천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3만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1만1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31만1천명)와 임시근로자(37만9천명), 일용근로자(3만8천명)가 모두 늘었다.
특히 상용근로자의 경우 최근 4개월 연속 증가폭을 키우는 모습이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2만7천명)는 증가했으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6만5천명)와 무급가족종사자(-3만9천명)는 줄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1년 전보다 108만2천명 급감한 40만3천명을 기록했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0.4%로 전년 동월 대비 1.0%포인트 올랐다. 고용률은 전체 연령층에서 모두 증가했는데, 이는 2018년 1월 이후 처음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2%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올랐다.
◇ 20대 실업률 상승…비경제활동인구 2개월째 감소
실업자 수는 114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2만5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4.0%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20대 실업률은 10.0%로 1년 새 0.9%포인트 상승했으며, 30대(3.6%)에서도 실업률이 올랐다.
청년층 실업률 상승은 작년에 연기됐던 9급 공무원 시험이 올해는 정상적으로 4월에 실시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전년 동월 대비 32만4천명 줄어든 1천666만7천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달 13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데 이어 2개월 연속 감소를 이어갔으며, 감소 폭도 2014년 4월(-37만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컸다.
정 국장은 "비경제활동인구가 작년 4월에 크게 증가한 기저효과가 반영됐고, 취업자가 급증한 영향이 있다"면서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고, 특히 청년층에서 감소세가 컸다"고 강조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3만8천명 줄어 237만1천명이었고, 구직단념자는 2만5천명 증가해 63만5천명이었다.
bob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