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 구축…향후 남북 비대면회담 대비 차원
남북회담 대비 영상회의 시연 |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제 모습이 잘 보이십니까?"(서울 남북회담본부), "영상도 잘 나오고 목소리도 깨끗하게 들립니다"(판문점 평화의집)
통일부가 4·27 판문점선언 3주년을 하루 앞둔 26일 종로구 삼청동 남북회담본부 3층 대회의실에 마련된 남북회담을 위한 영상회의실에서 시연회를 했다.
영상회의실 구축은 통일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향후 북한과 비대면 회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판단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획을 세우고 추진한 사업이다.
총 4억 원의 예산을 들여 풀 HD급 카메라 6대와 98인치 대형 액정표시장치(LCD) 모니터 4대, 통합제어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 영상회의실을 꾸렸다.
이날 시연회는 남북회담본부 영상회의실에서, 북한 대신 판문점 평화의집을 연결해 통일부 당국자들 간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당국자가 마이크를 켜고 대화를 나누는 동안 회의실 전방에 설치된 2대의 대형 모니터 속에 발언자 각각의 얼굴이 클로즈업됐다.
대화가 끝나고 발언자가 마이크 전원을 끄자 모니터 속 화면은 발언자의 얼굴에서 회의장 전체 모습으로 빠르게 전환됐다. 또 모니터 한 곳에 문서를 띄우고 함께 서류를 보며 영상회의를 이어가기도 했다.
통일부의 영상회의실 구축은 향후 성사될지 모를 북한과의 비대면 회의에 대비하는 차원이기도 하지만, 코로나19를 이유로 일절 대화의 테이블로 나오지 않는 북한을 끌어내기 위한 궁여지책 성격도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에서 "언제든, 어디서든 만나고, 비대면의 방식으로도 대화할 수 있다는 우리의 의지는 변함없다"고 호소했다.
실제 남북 영상회의가 성사되려면 북한과 합의가 필수지만, 기술적으로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간 전용 통신망을 활용해 호환성을 확보했고, 북한도 코로나19 상황 이후 내부적으로 영상회의를 진행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어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 밖에도 통일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남북이 대표단 규모를 최소화해 만나는 '안심 대면회담' 운영 방안을 자체적으로 마련해 이날 소개하기도 했다.
방역 수준에 따라 회담 절차와 방역 조치, 대표단 인원수를 세분화해 크게 ▲ 완전 비접촉 회담 ▲ 접촉 최소화 회담 ▲ 방역 안심존 회담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당국자는 "코로나19 상황에도 남북 당국 간 대면회담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라며 "향후 북측과 회담 방식을 협의할 때 우리 측 기본입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ykb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