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그냥 쉬었음’ 인구 역대최대 기록
구직단념 60만명…고졸 일자리 타격 막심
일자리 질도 악화…36시간 미만 단기 급증
공공일자리 한계 민간경제 활력제고 시급
취업정보 게시판 앞에 모여 있는 구직자들. [헤럴드DB] |
지난해 우리나라 고용 지표가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나빴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자수 감소 폭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컸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지난해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한경연은 지난해 고용 시장의 특징을 ▷고용지표 역대 두 번째로 악화 ▷일자리 질 저하 ▷취업자 고령화 ▷고졸 일자리 타격 ▷비경제활동인구 급증 등 5가지로 정리했다.
특히 지난해 취업자 및 경제활동인구 감소 폭과 실업자 수 증가세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제활동인구는 전년 대비 17만4000명 줄어 1998년(35만4000명)에 이어 감소 폭이 두 번째로 컸다. 지난해 취업자 수도 전년 대비 21만8000명 감소해 1998년(127만6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충격이 컸다.
반면 지난해 실업자 수는 110만8000명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49만명, 1999년 137만4000명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실업률도 4.0%로 2001년(4.0%)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는 1677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45만5000명 늘어 2009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 중 ‘그냥 쉬었음’ 인구는 237만4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였다. 구직단념자도 60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로 많았다. 특히 20대의 비경제활동인구는 7.5% 늘어 전체 평균(2.8%)을 크게 웃돌았다.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는 확장실업자와 확장실업률 증가로 이어졌다. 확장실업자는 실업자에 단기 근로를 하지만 재취업을 원하는 사람, 구직활동은 안 하지만 일자리를 원하는 사람, 구직활동을 했지만 당장 일을 시작하진 못하는 사람을 더해 계산한 수치로, 체감실업자라고도 한다.
지난해 확장실업자는 406만9000명, 확장실업률은 13.6%를 기록해 모두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자리 질도 악화했다. 주당 36시간 이상 일하는 취업자는 2011만2000명으로, 전년 대비 120만3000명 줄었다. 1998년(165만명)에 이어 역대 2위의 감소 폭이다. 반면 36시간 미만 단기 취업자는 595만6000명으로, 55만4000명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37만5000명 증가했다. 연령별 취업자는 2004년 이후 40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지난해 처음으로 50대 취업자(635만6000명)가 40대 취업자(634만6000명)를 앞질렀다. 60세 이상 취업자(507만6000명)는 청년 취업자(376만3000명)를 큰 폭으로 추월했다.
학력별로 보면 고졸 일자리가 가장 악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실업자 수는 대졸 이상은 전년 대비 1000명 줄고, 중졸은 7000명 늘었지만 고졸은 3만2000명 급증해 전체 실업자 증가의 70%를 차지했다.
지난해 고용률도 대졸 이상과 중졸은 전년 대비 각각 0.7%포인트, 0.4%포인트 감소에 그쳤지만 고졸은 1.9%포인트 줄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일부 수출업종을 제외한 기업들의 경영부진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일자리 상황이 악화됐다”며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는 만큼 규제완화, 경영환경 개선 등 민간경제 활력 제고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일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