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해 3월과 4월, 한국과 미국, 일본에서 지급한 재난지원금과 관련해 각국 연구소의 조사를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전 국민에게 4인 가구 기준 100만 원을 준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KDI 조사 결과, 투입 재원 대비 최대 36%의 효과가 있었지만 피해 업종 소비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취약 계층 중심 가구당 30만 엔에서 전 국민 10만 엔 지원으로 정책을 바꾼 일본은 일본종합연구소 분석 결과, 소비 창출 효과가 정부 기대치의 4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종합연구소는 취약계층 중심 선별지원이 소득보전과 경기부양 효과가 높다면서 취약계층 중심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전미경제연구소도 코로나19 피해계층과 저소득층이 추가로 벌어들인 소득 중 소비하는 비율, 즉 한계소비성향이 높고 저소득층을 지원해야 소비진작 효과가 상승한다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한경연은 월드뱅크도 충격 최소화를 위해 고정소득이 없는 자영업자나 비정규직 등 취약 계층 중심의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고, IMF도 선별 지원이 더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놨다고 설명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