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제외 모든 연령층서 취업자 감소·고용률 하락
실업자와 실업률이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6월 고용동향 발표하는 정동명 사회통계국장 |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05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35만2천명 감소했다.
지난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에 이어 4개월 연속 감소다. 4개월 연속 취업자 수 감소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 10월∼2010년 1월 이후 약 10년 만이다.
취업자 수 증감을 업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업(-18만6천명), 도·소매업(-17만6천명), 교육서비스업(-8만9천명), 제조업(-6만5천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6만4천명), 농림어업(5만2천명), 운수·창고업(5만명) 등은 증가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전 산업에 코로나19 영향이 미쳤으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대면서비스업이었다"고 말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3만8천명)만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30대(-19만5천명), 40대(-18만명), 20대(-15만1천명), 50대(-14만6천명)에서 모두 줄었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취업자가 17만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근로자(-40만8천명), 일용근로자(-8만6천명)는 감소한 반면 상용근로자(34만9천명)는 늘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7만3천명, 무급가족종사자는 5만3천명 각각 감소했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8천명 증가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1년 전보다 36만명(97.7%) 늘어난 72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3월(160만7천명), 4월(148만5천명), 5월(102만명) 등 3개월 연속 100만명대를 기록했으나 6월에는 규모가 다소 줄었다.
정 국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대면서비스 쪽에서 고용 상황이 안 좋아져 일시휴직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래픽] 취업자 증감·실업자 수 추이 |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전년 동월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0년 6월(60.0%) 이후 10년 만에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4년 6월(65.9%) 이후 최저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2%포인트 줄어든 42.0%를 기록했다. 20대(-2.5%포인트), 30대(-1.1%포인트), 40대(-1.6%포인트), 50대(-1.7%포인트) 모두 하락했다.
반면 60세 이상(0.6%포인트)만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중단됐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828만3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6만2천명 줄었다. 4개월 연속 감소다.
6월 고용동향 '코로나에 취업자 넉달째 감소' |
경제활동참가율은 1년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한 63.2%로 6월 기준 2013년(62.7%) 이후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작년 동월보다 54만2천명 늘어난 1천649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29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9천명 늘었다.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6월 기준 최대다. 20대(9만1천명↑)를 비롯해 전 연령층에서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53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2만4천명 증가했다.
실업자 수는 9만1천명 늘어난 122만8천명, 실업률은 0.3%포인트 오른 4.3%였다.
실업자와 실업률 모두 같은 달 기준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실업률은 10.7%로, 같은 달 기준 1999년(11.3%) 이후 최고였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0%포인트 오른 13.9%였다. 6월 기준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2%포인트 오른 26.8%였다.
'코로나쇼크' 취업자 수 넉달 연속 감소 |
yjkim84@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