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지하철과 백화점을 비롯한 상당수 건물 내부에서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 지금처럼 LTE와 혼용해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단독모드(SA; StandAlone) 방식의 5G 서비스도 상용화된다.
정부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와 5G+ 전략 발표 1주년을 맞아 8일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갖고 추진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이같은 향후 계획을 확정했다.
영상통화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구현모 KT 사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 등이 참석했다. 또 정부부처로는 교육부와 국방부가 처음으로 회의에 참여했다. 올해 첫 전략위원회에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에 5G 가 돌파구를 찾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
2000여곳에 5G 인빌딩…5G SA 상용화하고 28㎓ 대역 망구축
━
이번 회의에서 통신사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상반기 망 투자규모를 2조7000억원에서 4조원 규모로 약 50% 가량 확대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또 영세사업자와 소상공인에 약 4200억원의 지원을 추진한다. 서비스 품질 개선도 올해 중점 추진과제다. 서울·수도권 및 광역 지하철과 공항, 백화점, 중소형 건물 등 2000여곳에 5G 실내기지국(인빌딩)을 설치해 커버리지를 넓히기로 했다.
그동안 5G 서비스는 건물 내부에선 LTE만 잡혀 ‘반쪽짜리 5G’란 지적을 받기도 했다. 연내 5G 단독모드도 상용화된다. 전송 속도가 기존 LTE 혼용모드에 비해 빠르고 지연시간이 짧은 게 특징이다. 단말 제조사들은 소비자들의 선택권 확대를 위해 중저가형 5G 단말기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기로 했다.
━
5G 키우는데 예산 6500억원 투입…네트워크 장비 국산화 추진
━
정부는 5G+전략 사업을 본격 육성하기 위해 범정부적으로 약 6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올해는 네트워크 장비와 차세대 스마트폰, 스마트공장, 실감콘텐츠 등 15대 5G+ 전략산업을 중점적으로 진행한다.
먼저 올해도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비 시장 점유율 20% 이상을 유지하기 위해 장비·부품 국산화를 추진한다.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글로벌 5G폰 판매량은 2배 이상 늘린다는 목표다. 올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5G 상용화와 헬스케어기기 수요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9.0% 성장한 6640만대 규모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15%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헬스케어 제품 신규개발과 산업육성전략 수립을 추진한다. 스마트공장 분야에서는 올해 국내 5G 스마트공장 200개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목표다.
━
5G+ 이노베이션 프로젝트 추진…당뇨 진단·완전자율주행 핵심 기술 개발
━
정부는 5G+ 전략 확산을 위해 2021년 신규 사업을 범부처 협력으로 추진한다.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과 발열, 복통 등 주요 감염병 증상과 질환을 빠르게 진단하는 ‘닥터앤서 2.0’ 버전을 개발하고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처리, 차량통신, 보안 등 완전자율주행 핵심 기술개발 사업 등을 기획 중이다. 이들 사업은 연내 기획재정부 예산심의를 거친 뒤 확정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5G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지 벌써 1년이 지났지만 국민들이 변화를 체감하기에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며 “조기에 가시적 성과를 창출해 5G 일등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상황을 5G+ 전략으로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범부처·민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주현 기자 nar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