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英CEBR "韓 GDP 작년 세계 12위, 2027년에야 10위 탈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2033년에 미국 제치고 1위"

연합뉴스

한국은행 전경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한국 경제의 덩치가 2027년에나 세계 10위권에 재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1일 영국 싱크탱크 경제경영연구소(CEBR)가 최근 발표한 2020년 연례 '세계 경제 순위표(League Table)'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달러화 기준 국내총생산(GDP)은 1조6천300억 달러로, 조사 대상 193개국 중 12위에 그쳤을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의 GDP가 14년째 10위권 밖에 머물렀을 것으로 판단한 셈이다.

한국 GDP의 세계 순위는 2005년 10위까지 올랐다가 2006년 11위, 2007년 13위, 2008년 15위로 밀렸으며 2018년에도 12위에 머무르는 등 10위권 밖에서 맴돌았다.

보고서는 한국의 GDP가 2027년에나 다시 10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소는 1년 전에 낸 정례 보고서에서는 한국이 2026년에 10위에 재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10위 탈환 예상 시점을 이번에 1년 더 늦춘 것이다.

연구소는 당시 보고서에서는 통일이 된다면 2030년대 한국 경제가 세계 6위로 뛰어오를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으나 이번 보고서에서는 통일 관련 언급도 빠졌다.

연구소는 이번 보고서에서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수요 감소가 불러온 중국의 경기둔화가 한국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2020∼2025년 한국의 GDP는 연평균 2.8% 증가할 것이며 2026∼2034년에는 연평균 2.9%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 연구소는 중국 경제 규모가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될 시점은 2033년으로 점쳤다.

그 전 보고서 때에 비해 역시 1년 늦췄다.

연구소는 이에 대해 "미국 경제의 계속되는 강세를 예상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인도의 GDP가 2019년 프랑스와 영국을 제치고 5위에 올라섰을 것으로 추정했으며 인도가 2026년에는 4위인 독일을, 2034년에는 3위인 일본을 각각 따라잡을 것으로 내다봤다.

[표] 2034년 세계 경제 규모 순위 전망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료=영국 경제경영연구소 2020 세계경제순위표 보고서)

chic@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