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강서정 기자] ‘국민 여러분!’이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는 반전의 연속으로 마지막 남은 한 주간의 이야기에 기대를 증폭시켰다. 의리를 지킨 최시원과 김의성, 그러나 김민정의 컴백 예고로 긴장감이 폭발한 것. 이날 방송은 전국 7.5%, 최고 8.5%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닐슨코리아, 전국기준)
지난 21일 방송된 KBS 2TV 월화드라마 ‘국민 여러분!’(극본 한정훈, 연출 김정현, 김민태)에서 ‘대부업 이자제한법 폐지’를 막기로 결심한 국회의원 양정국(최시원). 사채업자 박후자(김민정)에게 정면으로 맞서더라도, “이 법이 없어지면 힘든 사람이 더 힘들어질 것 같다. 의원님의 인맥과 정보, 그리고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김주명(김의성)에게 도움을 청했다.
국회의원 300명 중, ‘대부업 이자제한법 폐지’에 찬성하는 인원은 147명, 반대는 140명, 중립이 13명. 김주명은 “법안 폐지를 막기 위해서는 중립인 의원들을 설득해 본회의에 못 나오게 해야 한다”고 했다. 애초에 본회의가 성립되지 않도록 참석 ‘과반 미달’을 노리자는 것. 그러나 정국이 의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건 쉽지 않았다. 얼마 전 밝혀진 비리에도 불구하고 내년 총선에서 국민당의 당대표가 될 확률이 가장 높은 김남화(김민재) 의원이 강력하게 미는 법안이기에 반대표를 던지기 어렵다는 게 이유였다.
정국은 국회 내에서의 입지가 몹시 탄탄한 김남화를 무너뜨리기 위해 한상진(태인호)을 찾아가 “김남화 의원의 비리를 캐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같은 당 의원의 뒤를 조사하는 일이 탐탁지 않았지만, “정치를 외면한 가장 큰 대가는 평생 똑같이 살아야 된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뽑아준 국민은 국민대로, 뽑힌 의원은 의원대로, 실망하고 좌절하고 상처받고, 바꿀 생각도 안 하고, 지금처럼 똑같이, 4년에 한 번씩 상처받으면서 사는 것”이라는 정국에게 설득당했다. 과거, “정치를 외면한 가장 큰 대가는 평생 일만 해야 된다는 거다”라던 자신과는 다르지만,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국의 진심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그간 쌓아온 성실하고 선량한 이미지로 김남화에 접근한 한상진이 알아 온 정보는 폭탄이었다. 김남화가 ‘당비 대납’을 이용해 자신을 지지하는 당원의 수를 조작해왔다는 것. 명백한 공직선거법 위반이었다. 이 정보는 경찰 미영(이유영)에게 넘어갔고, 미영은 곧바로 김남화 의원실 압수 수색에 나섰다. 그 결과, 당비 대납 채용 비리, 인사 청탁, 특활비 착복까지 김남화가 지어온 다양한 죄를 손에 넣었지만, 그를 잡는 것은 여의치 않았다. 궁지에 몰린 김남화가 “혼자 죽지 않겠다. 멈추지 않으면 과거 김주명의 비리를 폭로하겠다”고 나선 것.
그러나 정국은 김주명의 비리가 폭로되더라도, 그래서 김주명이 ‘양정국=사기꾼’이라는 걸 밝히더라도 상관없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다음날, 각기 다른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준비한 정국과 김주명. 그런데 먼저 입을 연 김주명이 진실을 폭로하려는 순간, 정국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나 같은 사기꾼 놈 국회의원 만들어 준 사람 감옥 못 보내요”라며 울먹이는 정국. 새로운 반전이었다. 이에 “저와 여기 계신 김남화 의원은 정말 나쁜 새낍니다”라며 입을 연 김주명은 그간의 비리를 고백하며 외쳤다. “국회의원도 죄를 지었으면 벌 받아야지! 그게 국민에 대한 예의 아닙니까!”라고. 정국과 똑 닮게 변한 김주명의 또 다른 반전이었다.
한편, 이날 방송의 엔딩에서는 구치소에 갇혔던 박후자가 풀려났다. 검사인 셋째 언니 박미희(윤주희)에게 건넸던 “형이 확정될 때까지만 구치소에서 나가게 해주면, 백경 캐피탈 지분의 절반을 주겠다”라는 제안이 통한 것. 서로를 향한 의리를 지킨 양정국과 김주명, 그러나 자신을 함정에 빠뜨린 정국을 향해 “조금만 기다려. 지금부터 내가, 갈기갈기 찢어줄게”라는 말을 남긴 박후자로 마지막까지 긴장감을 폭발시킨 ‘국민 여러분’의 남은 이야기는 어떤 결말을 맞을까. /kangsj@osen.co.kr
[사진] KBS 2TV ‘국민 여러분!’ 방송 화면 캡처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