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팝인터뷰①]'황후의품격' 오아린 "촬영 즐거워, 진짜 공주라 생각하고 연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헤럴드POP=천윤혜기자]"연기하며 힘든 점 하나도 없었어요"

어린 나이이지만 나이답지 않은 연기는 모든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오아린은 최근 종영한 SBS 드라마 '황후의 품격'을 통해 많은 시청자들을 엄마미소 짓게 했다. '황후의 품격'에서 오아린이 맡았던 역할은 대한제국 황제 이혁(신성록 분)의 숨겨졌던 딸로 공주에서 황태녀 자리까지 오르는 아리.

최근 서울 종로구 경희궁길의 한 카페에서 헤럴드POP과 만난 오아린은 "아쉬웠는데 그래도 다음 작품에서 또 만날 수 있기 때문에 좋았다"며 '황후의 품격'을 마친 소감을 전했다.

'황후의 품격' 인기 덕분에 자신을 알아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오아린. 그녀는 "길을 지나가는데 '홍시('언니는 살아있다' 속 배역 이름) 아니야?'라고 물어보신다. 또 단골 분식점이 있는데 사장님이 저를 처음 보시고는 '아리공주 아니냐?'고 물어보셨다. 칭찬 받는 것도 기분 좋고 같이 사진 찍는 것도 기분 좋다"며 미소지었다.

오아린은 김순옥 작가와 인연이 깊다. 김순옥 작가의 전작인 '언니는 살아있다'에서 홍시 역을 연기한 적이 있었던 것. 그녀는 '황후의 품격'에 출연할 수 있었던 것도 김순옥 작가 덕분이었다고 밝혔다. "작가님께서 '언니는 살아있다'에서 제가 연기를 너무 잘 해서 '다시 만나자'고 하셨었다. '황후의 품격' 때 오디션 안 보고 저로 가자고 하셔서 출연하게 됐다."

김순옥 작가의 눈은 정확했다. 오아린은 김작가의 믿음에 힘입어 '황후의 품격'에서 아역 배우라고 하기에는 믿기지 않을 법한 연기력을 선보였다. 위엄있는 공주의 모습부터 눈물을 뚝뚝 흘리는 슬픔에 잠긴 모습까지. 이를 본 많은 시청자들은 오아린에게 '연기천재'라는 칭호를 붙여주기도 했다.

오아린은 이에 대해 "대본 외우는 것도 재밌고 촬영하는 것도 재밌었다. 힘든 점이 하나도 없었다"며 "내가 공주다 생각하면서 연기했다"고 나름대로의 연기 비결을 전했다.

그는 보다 구체적으로 말을 이었다. "신기하게도 눈물신을 찍으러 갈 때는 친할머니가 엘리베이터 타고 문 닫히기 전까지 '화이팅' 해주셨던 게 생각이 났다. 그걸 생각하면 눈물이 났다. 그리고 3개국어를 연기했을 때에는 중국어, 영어, 일본어 녹음본을 계속 듣고 연습했다. 뜻도 알아서 같이 외웠다."

헤럴드경제

이렇게 연기에 있어서는 그 누구보다 치밀했지만 여전히 그녀에게는 아이같은 순수함이 가득했다. 이는 "사실은 공주 역할보다는 황태녀 역할이 더 좋았다. 황태녀가 더 높지 않나"는 오아린의 말 한마디로 정리됐다.

오아린은 '황후의 품격'에 함께 출연했던 배우들을 유독 잘 따랐다. 그 중 그녀의 마음 속 1순위는 최진혁이라고. "저한데 잘 해주시고 큰 젤리를 통째로 다 주셨다. 다리도 길고 얼굴이 멋있어서 좋았다."

그녀는 이어 "어마마마(장나라)는 촬영장에서 먼저 저한테 얘기해주시고 잘 놀아주셨다. 어마마마가 귀도 움직이고 코를 크게 했다 작게 했다 하는 걸 백 번 넘게 할 수 있다고 하셨다. 저는 안 됐는데 어마마마는 그게 되셨다. 민 수석님(이엘리야)하고는 가위바위보도 하고 놀았다"며 "같이 촬영하는 언니, 오빠가 없어도 배우님들이 다 잘 해주셔서 재미있게 촬영할 수 있었다"고 훈훈했던 현장 분위기를 전해 눈길을 끌었다.

그러면서 "아리 공주 배동식 장면에서 쿠키를 먹고 쓰러져야 했는데 감독님께서 목을 조르면서 쓰러지는 게 자연스럽다고 하셨다. 저는 그런 연기를 처음 해보는 거라서 어려웠는데 신은경 선생님이랑 아바마마가 알려주셔서 연기했다. 신은경 선생님은 목을 손으로 잡으면서 '헉'을 세 번 하고 쓰러지라고 하셨고 아바마마는 목 조르면서 힘들게 하다가 쓰러지면 된다고 하셨다"고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사진=싸이더스HQ 제공

([팝인터뷰②]에 계속..)

pop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POP & heraldpop.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