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종영]"송혜교♥박보검이었기에"..'남자친구'의 마법은 매순간 힐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tvN '남자친구' 방송 캡처


[헤럴드POP=천윤혜기자]송혜교와 박보검의 마법이 힐링 같은 16시간을 선사했다.

지난 24일 tvN 수목드라마 '남자친구'(극복 유영아, 연출 박신우)가 16회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남자친구'는 한 번도 자신이 선택한 삶을 살아보지 못한 차수현과 자유롭고 맑은 영혼 김진혁의 우연한 만남으로 시작된 설레는 로맨스 드라마.

'엔젤아이즈', '질투의 화신' 등을 연출한 박신우PD와 '예쁜남자'와 '딴따라'를 집필한 유영아 작가가 의기투합해 감성 멜로를 탄생시켰다. 두 제작진의 선택을 받은 배우들은 송혜교와 박보검.

두 사람 모두 2년 만의 컴백이었다. 송혜교는 전작 '태양의 후예'로, 박보검은 '구르미 그린 달빛'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큰 사랑을 받으며 지난 2016년을 그들의 해로 만든 바 있다. 때문에 송혜교와 박보검의 차기작을 향해 대중들의 시선이 모아질 수밖에 없던 터. 이 와중 두 사람이 한 작품을 통해 만난다는 소식은 국내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역을 들썩였다.

물론 11살의 나이차, 송혜교의 남편이자 박보검의 절친한 형인 송중기로 인한 몰입감에 대한 우려는 있었지만 그럼에도 두 사람의 복귀는 핫한 이슈였다. 송혜교와 박보검이 감성 멜로를 선보이기로 한 만큼 '남자친구'에서 두 사람의 케미는 어떤 식으로 발휘될지 모두의 관심이 집중됐다.

'남자친구'가 방영되기 전 제작발표회 현장에서 박신우PD는 "깜짝 놀랄 만한 케미다. 처음 보는 케미다. 정말 자랑스럽다"며 두 사람의 케미를 현장에서 지켜본 연출자로서 극찬을 보냈다. 그리고 이는 첫 방송이 시작되자마자 증명됐다. 쿠바에서 시작된 운명 같았던 차수현(송혜교 분)과 김진혁(박보검 분)의 만남은 힐링 그 자체였다. 입증된 비주얼부터 가슴 설레게 하는 눈빛은 한눈에 시청자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다.

다만 '남자친구'는 스토리 전개에 있어 호평과 혹평을 오갔다. 순수한 사랑이 가슴을 뛰게 한다는 반응이 있는가하면 다소 진부한 스토리 전개에 아쉬움을 표하는 시청자 역시 있었다. 이 때문이었을까. '남자친구'는 시청률조사기관 닐슨코리아 기준 2회에서 10.3%(유료플랫폼 가구 기준)를 기록하며 화제성을 입증했지만 이는 '남자친구'의 최고 시청률이 됐다. 이후 7~8%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처음보다는 주춤한 모양새가 됐다. 물론 케이블 채널에서 7~8%의 시청률이 나왔다는 건 분명 성공한 셈. 다만 방영 전 보였던 엄청난 화제성에 비해서는 다소 아쉬울 수 있는 시청률이다.

헤럴드경제

tvN '남자친구' 제공


그럼에도 이런 시청률을 가져갈 수 있었던 데에는 송혜교와 박보검의 지분이 상당했다. 두 사람은 명품 연기와 압도적인 케미로 극을 끌고 갔다. 섬세한 감정선을 따라가며 눈빛과 분위기로 극을 압도한 두 사람은 진짜 차수현, 진짜 김진혁이 이 세상 어딘가에 살아 숨쉬고 있을 것만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의 연기력은 마지막 회에서도 빛을 발했다. 박보검은 이별이 아닌 혼자라도 사랑하는 길을 택한 김진혁의 모습을 때로는 담담하게, 때로는 슬픔을 눌러담으며 섬세하게 표현해냈다. 그리고 그런 김진혁을 안타까워하며 잊지 못하는 차수현의 모습은 절절했다. 결국 구두와 사진을 통해 다시 만난 두 사람. 송혜교와 박보검이 차수현과 김진혁을 만들어냈기에 이들의 완성된 사랑은 더욱 애틋했고 깊었다.

송혜교와 박보검이 만들어낸 기적의 16시간. 눈꽃처럼 따뜻했고 여운이 깊은 시간이었다.

한편 tvN '남자친구' 후속으로는 이동욱, 유인나 주연의 '진심이 닿다'가 방영될 예정이다. '진심이 닿다'는 드라마처럼 로펌에 뚝 떨어진 대한민국 대표 배우 오윤서가 완벽주의 변호사 권정록을 만나 시작되는 우주여신 위장취업 로맨스물. 오는 2월 6일 첫 방송 예정이다.

pop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POP & heraldpop.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